백염(白鹽) / 소금
익생양술에서
"소금"로 처방에 사용됨
동의보감에서 "백염(白鹽) / 소금"로 처방에 사용되었음.
분포 |
서해안, 남해안 |
채취기간 |
수시 |
키 |
null |
취급요령 |
천일염 그대로 또는 가공하여 사용한다. |
생지 |
염전 |
성미 |
차며, 짜다. |
분류 |
식품, 화학원료 |
독성여부 |
없다. |
번식 |
null |
1회사용량 |
1~10g |
약효 |
소금 |
사용범위 |
치유되는 대로 중단한다. |
특징 및 사용
하얀색의 짠맛이 나는 입방체의 결정으로, 학술 용어로는 염화나트륨이라고 한다. 바닷물에는 천연 상태로 약 2.8%가 들어 있으며, 암염(암염)으로도 난다. 인체의 혈액이나 세포 안에 약 0.17%가 들어 있으며 어른의 하루 평균 소모량은 10~20g이 된다. 용도가 매우 넓어서 양념, 방부제로 쓰며 공업용으로 가성소다, 탄산소다, 염소, 염산 등의 제조원료로 쓴다.
백염(白鹽) / 소금
라틴명 |
Sal |
약재의 효능 |
양간명목(凉肝明目)
(간(肝)기능을 맑게 하여 눈을 밝게 하는 효능임)
|
작용부위 |
방광(膀胱)
, 신(腎)
, 심(心)
|
성미 |
한(寒)
, 함(鹹)
|
약전기재 |
중국약전
|
독성 |
Mild; active, but toxicity appears very mild unless used for long time 1,2). 1) H.K. Do, Shin Rhong Bon Cho Kyung, 452. 2) H.T. Rhu, Hyang Yak Jip Sung Bang, 1431. |
약재사용처방 |
격피취농법(隔皮取膿法) /
옹저(癰疽)
|
|
백염(白鹽)[2] /
주사비(酒齄鼻)
|
|
백염(白鹽)[3] /
치근동요(齒根動搖)
, 아선(牙宣)
|
|
빙매환(氷梅丸) /
인후폐쇄(咽喉閉鎖)
|
|
옥설탕(沃雪湯)[1] /
풍습(風濕)
, 두목현훈(頭目眩暈)
|
|
찰아지통방(擦牙止痛方) /
치통(齒痛)
|
|
초염산(椒鹽散) /
아주공(牙蛀孔)
|
|
통관산(通關散)[1] /
소변불통(小便不通)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