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사육(山楂肉) / 산사나무

 익생양술에서 "산사나무"로 처방에 사용됨
 동의보감에서 "산사육(山楂肉) / 산사나무"로 처방에 사용되었음.
분포 전국 각지 채취기간 9~10월(열매 성숙기)
6~8m 취급요령 햇볕에 말려 쓴다.
생지 산지, 골짜기, 마을 부근 성미 약간 따뜻하며, 시고 달다.
분류 낙엽 활엽 소교목 독성여부 없다.
번식 꺾꽂이ㆍ씨 1회사용량 열매 5~7g
약효 열매 사용범위 해롭지는 않으나 치유되는 대로 중단한다.
동속약초 아광나무의 열매
어긋나며 길이 6~8cm, 나비 5~6cm의 넓은 달걀꼴 또는 삼각 모양의 달걀꼴로서 가장자리가 깃 모양으로 깊게 갈라지는데 밑 부분은 더욱 깊게 갈라진다. 가장자리에 뾰족하고 불규칙한 톱니가 있다. 표면은 짙은 녹색에 윤기가 있으며 양면의 맥 위에 털이 있다. 잎자루의 길이는 2~6cm이다.
5월에 가지 끝에서 산방 꽃차례로 흰색의 오판화가 달려 핀다. 꽃잎은 둥글며 꽃받침 조각과 더불어 각각 5개씩이다. 수술은 20개이며 꽃밥은 붉은색이다.
열매
9~10월에 지름 1.5cm 정도의 둥근 이과가 달려 붉게 익는데 끝에 꽃받침이 남아 있고 흰색의 반점이 있다.
특징 및 사용
산사ㆍ질배나무ㆍ동배나무ㆍ애광나무ㆍ아가위나무라고도 한다. 나무의 모양이 거의 원형에 가까울 정도로 자란다. 나무껍질은 잿빛이고 가지에 털은 없으며 가시가 나 있다. 방향성이 있다. 유사종으로 잎이 크고 얕게 갈라지며 열매의 지름이 2.5cm인 것을 넓은잎산사, 갈라진 잎의 조각이 좁은 것을 좁은잎산사, 잎이 거의 깃꼴겹잎처럼 갈라진 것을 가새잎산사, 잎의 뒷면과 작은 꽃자루에 털이 촘촘히 난 것을 털산사, 잎이 갈라지지 않는 것을 자작잎산사라 한다. 열매를 산사자라 하는데 특히 우리나라 것은 토산사(土山査), 중국 것은 산사육(山査肉)이라 한다. 관상용ㆍ약용ㆍ식용으로 이용된다. 꽃과 열매가 아름답고 잎의 모양도 기이하여 정원수ㆍ조경수로 훌륭하다. 열매는 그대로 먹거나 화채 또는 과실주를 담가 먹는다. 약으로 쓸 때는 탕으로 하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사용하며, 술을 담가서도 쓴다.
산사육(山楂肉) / 산사나무
라틴명 Crataegi Fructus
약재의 효능 파기(破氣)  (기기(氣機)의 소통을 원활하게 함으로써 울결, 적체된 기(氣)를 풀어주는 치법.)
마적(磨積)  (적취(積聚)를 해소하는 효능임)
행기(行氣)  (기를 잘 돌게 하는 방법을 말함.)
산어(散瘀)  (어혈(瘀血)을 제거하는 효능임)
소식(消食)  (음식을 소화시키는 효능임)
도체(導滯)  (체한 것을 내려가게 하는 방법을 가리키는 용어임.)
제비(除痺})  (비(痞)를 제거하는 효능임)
보비(補脾)  (비(脾)의 기능이 정상화 될 수 있도록 비의 음기(陰氣)와 양기(陽氣)를 보충하는 치법임.)
건위(健胃)  (위(胃)의 소화기능을 강하게 하는 방법임)
활혈(活血)  (혈(血)의 운행을 활발히 하는 효능임)
구조충(驅條蟲)  (벌레를 제거하는 치료 방법임.)
소적(消積)  (적취(積聚)를 제거하는 효능임)
작용부위 간(肝) , 비(脾) , 위(胃)
성미 미온(微溫) , 산감(酸甘)
주의사항 위중무적(胃中無積), 비허오식(脾虛惡食), 우치(齲齒) 등의 증상이 있으면 복용하지 말 것.
독성 The LD50 for 10% Crataegi Fructus extract is 33.8 ml/kg for rat and 18.5 ml/kg for mice.1). It causes uterine contractions but neither contraindicates it in pregnancy 2).
1) Huang, K.C., The pharmacology of Chinese herbs II, CRC press, 1999.
2) Yeung, H., Handbook of Chinese Herbs and Formulas, volume 1., Los Angeles; Institute of Chinese Medicine, 1985.
약재사용처방 가감보화환(加減保和丸) /  식상(食傷)숙식(宿食)
가감위령탕(加減胃苓湯)[1] /  부종(浮腫)
가미시평탕(加味柴平湯) /  비괴(痞塊)
가미월국환(加味越麴丸) /  울증(鬱證)
각병연수탕(却病延壽湯) /  노인소수단소(老人小水短少)
감적병(疳積餠) /  오장감(五臟疳)
건비환(健脾丸) /  식상(食傷)
건위보화원(健胃保和元) /  식상(食傷)
궤견탕(潰堅湯) /  오적(五積)육취(六聚)비괴(痞塊)
궤견환(潰堅丸) /  비괴(痞塊)육취(六聚)오적(五積)
내소산(內消散) /  식적(食積)
대안환(大安丸) /  식적(食積)
도씨평위산(陶氏平胃散) /  식적(食積)
보화환(保和丸)[1] /  비괴(痞塊)적취(積聚)
보화환(保和丸)[2] /  주적(酒積)식적(食積)
비아환(肥兒丸) /  감질(疳疾)
산사국출환(山査麴朮丸) /  비설(脾泄)
삼릉화적환(三稜化積丸) /  적취(積聚)
삼보기출환(三補枳朮丸) /  열중(熱中)
삼출건비탕(蔘朮健脾湯) /  식상(食傷)
서죽당화담환(瑞竹堂化痰丸) /  주담(酒痰)
소감환(消疳丸) /  오감(五疳)
소식산(消食散) /  식적(食積)
소식청울탕(消食淸鬱湯) /  조잡(嘈雜)
소온중환(小溫中丸) /  곡달(穀疸)
소적정원산(消積正元散) /  기혈응체(氣血凝滯)식적(食積)담음(痰飮)
연라환(連蘿丸) /  조잡(嘈雜)비괴(痞塊)현훈(眩暈)
오감소식원(五疳消食元) /  오감(五疳)
오부통기탕(烏附通氣湯) /  산통(疝痛)
운림윤신환(雲林潤身丸) /  내상비위증(內傷脾胃證)
월국보화환(越麴保和丸) /  울증(鬱證)
이향환(二香丸) /  호산(狐疝)
정전가미이진탕(正傳加味二陳湯) /  식담(食痰)
좌비환(佐脾丸) /  식적(食積)
죽력기출환(竹瀝枳朮丸) /  담음(痰飮)
진인화철탕(眞仁化鐵湯) /  현벽(痃癖)징가(癥瘕)
천금소벽환(千金消癖丸) /  벽괴(癖塊)
청기화담환(淸氣化痰丸)[2] /  담음(痰飮)식적(食積)주적(酒積)
치달벽일방(治疸癖一方)[2] /  달벽(疸癖)
치황달희끽생미일방(治黃疸喜喫生米一方) /  희끽생미(喜喫生米)
태화환(太和丸) /  비위허약(脾胃虛弱)
팔선고(八仙糕) /  손설(飱泄)
평간순기보중환(平肝順氣保中丸) /  조잡(嘈雜)탄산(呑酸)
향각환(香殼丸)[2] /  식상(食傷)
향릉환(香稜丸) /  육취(六聚)오적(五積)
향사평위산(香砂平胃散)[2] /  식울(食鬱)
활신환(活腎丸) /  목신(木腎)
황과루환(黃瓜蔞丸) /  식적담수(食積痰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