녹각(鹿角) / 사슴
익생양술에서
"사슴"로 처방에 사용됨
동의보감에서 "녹각(鹿角) / 사슴"로 처방에 사용되었음.
분포 |
한국, 일본, 중국, 우수리 |
채취기간 |
수시 |
키 |
80~90cm |
취급요령 |
탕으로 하여 쓴다. |
생지 |
산이나 들에 야생 |
성미 |
따뜻하며, 달다. |
분류 |
포유류 |
독성여부 |
없다 |
번식 |
태생 |
1회사용량 |
적당량 |
약효 |
전체 |
사용범위 |
고기는 장복해도 무방하다. |
동속약초 |
백두산사슴, 말사슴, 큰사슴, 누렁이 |
특징 및 사용
녹각은 사슴의 수컷 뿔이 뼈처럼 단단하게 되어 자연히 떨어진 것이고 녹용은 뿔이 뼈처럼 단단해지지 않은 어린 상태를 말린 것을 말한다. 사슴 피, 즉 녹혈은 인삼을 백일 동안 먹인 후 교미하기 전 채혈을 해야 최상품으로 얻을 수 있다. 수사슴의 고환 음경을 잘라 말린 것을 녹신, 녹편이라 한다. 네 다리가 가늘고 길어서 걷기에 적합하고 위는 소와 같이 되새김을 한다. 초식성이고 흔희 무리를 이루어 생활하며 성질이 온순하다. 수컷은 골질(骨質)의 뿔이 한쌍 있는데, 해마다 봄철에 갈아난다. 새로운 뿔을 녹용이라 한다.
녹각(鹿角) / 녹각
라틴명 |
Cervi Cornu |
약재의 효능 |
익기(益氣)
|
|
보양(補陽)
(보법(補法)의 하나로, 양허증(陽虛證)을 치료하는 방법임.)
|
|
익신(益腎)
(신(腎)을 보익(補益)하는 효능임)
|
|
통독맥(通督脈)
|
|
생정혈(生精血)
(정혈(精血)을 생기게 하는 효능임)
|
|
경신(輕身)
(몸을 가볍게 하는 효능임)
|
|
강골수(强骨髓)
(골수(骨髓)를 강하게 하는 효능임)
|
|
속절상(續絶傷)
(뼈나 근육이 끊어진 것을 이어주는 효능임)
|
|
산열행혈(散熱行血)
(열을 흩뜨리고 피를 소통시키는 효능임)
|
|
소종벽사(消腫辟邪)
(옹저(癰疽)나 상처가 부은 것을 삭아 없어지게 하고사기(邪氣)를 제거하는 효능임)
|
|
익신보허(益腎補虛)
(신(腎)을 보익(補益)하고 허(虛)한 것을 보(補)하는 효능임)
|
|
강정활혈(强精活血)
(정(精)을 강하게 하고 혈(血)의 운행을 활발히 하는 효능임)
|
작용부위 |
간(肝)
, 신(腎)
|
성미 |
온(溫)
, 함(鹹)
|
약전기재 |
중국약전
, 한국생약규격집
|
주의사항 |
골질화된 뿔 |
독성 |
Mild; active, but toxicity appears very mild unless used for long time 1,2). 1) H.K. Do, Shin Rhong Bon Cho Kyung, 452. 2) H.T. Rhu, Hyang Yak Jip Sung Bang, 1431. |
약재사용처방 |
내생기환(內生肌丸) /
누창(瘻瘡)
|
|
녹각(鹿角)[2] /
투유(妬乳)
|
|
녹각(鹿角)[3] /
요척통(腰脊痛)
|
|
녹각(鹿角)[4] /
귀교(鬼交)
|
|
녹각(鹿角)[5] /
사태불하(死胎不下)
|
|
녹각산(鹿角散)[1] /
몽설(夢泄)
|
|
녹각산(鹿角散)[2] /
옹저(癰疽)
|
|
녹각회(鹿角灰) /
염창(臁瘡)
|
|
영응고(靈應膏)[1] /
나력(瘰癧)
, 유옹(乳癰)
, 옹저(癰疽)
|
|
영응고(靈應膏)[2] /
옹저(癰疽)
, 악창(惡瘡)
, 유옹(乳癰)
|
|
용주환(茸珠丸) /
신허(腎虛)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