붕사(硼砂) / 붕사
익생양술에서
"붕사"로 처방에 사용됨
동의보감에서 "붕사(硼砂) / 붕사"로 처방에 사용되었음.
이명
대붕사(大朋砂)
분사
월석(月石)
천봉사(川蓬砂)
분포 |
null |
채취기간 |
null |
키 |
null |
취급요령 |
그대로 먹거나 가루내어 쓴다. |
생지 |
null |
성미 |
서늘하며, 달고 짜다. |
분류 |
광석 |
독성여부 |
없다. |
번식 |
null |
1회사용량 |
2~4g |
약효 |
붕사(전체) |
사용범위 |
치유되는 대로 중단한다. |
특징 및 사용
붕사 광물을 정제하여 얻는데, 크기가 일정치 않은 주상 또는 입상의 단사정계(單斜晶系)의 결정체이다. 무색 투명하거나 백색으로 반투명하고 광택이나며 공기 중에 오래 방치하면 풍화하여 백색분말이 생기고 불투명해진다. 재질이 가볍고 쉽게 부서지고 냄시가 없으며 무색 투명한 결정품이 좋다. 물에 잘 녹는다. 산제나 환제로 하여 사용한다. 외상에는 가루를 뿌리거나 개조 바른다.
붕사(硼砂) / 붕사
라틴명 |
Borax |
약재의 효능 |
지수(止嗽)
(기침을 그치게 하는 효능임)
|
|
소담(消痰)
(막혀 있는 탁한 담(痰)을 쳐 내리는 거담(祛痰) 방법임.)
|
|
파적(破積)
(몸 안의 적취(積聚)를 깨트리는 효능임)
|
|
성주(醒酒)
(술을 깨는 효능임)
|
|
생진(生津)
(진액을 자양하는 약물을 사용하여 고열 등의 원인으로 인한 진액 손상을 치료하는 방법.)
|
|
방부(防腐)
(썩는 것을 방지하는 효능임)
|
|
해독(解毒)
(독성(毒性)을 풀어주는 효능임)
|
|
거구취(去口臭)
(구취(口臭)를 제거하는 효능임)
|
|
유오금(柔五金)
|
|
제구니(除垢膩)
(기름진 때를 없애는 효능임)
|
|
치인후제병(治咽喉諸病)
|
작용부위 |
위(胃)
, 폐(肺)
|
성미 |
고신(苦辛)
, 난(暖)
|
주의사항 |
붕사를 정제해서 얻음. |
약재사용처방 |
가미상청환(加味上淸丸) /
실음(失音)
, 해수(咳嗽)
|
|
강설산(絳雪散) /
후풍(喉風)
|
|
금쇄시(金鎖匙) /
전후풍(纏喉風)
, 급후폐(急喉閉)
|
|
등심산(燈心散)[2] /
소아야제(小兒夜啼)
|
|
명경고(明鏡膏) /
목삽혼화(目澁昏花)
|
|
백룡산(白龍散)[1] /
농이(膿耳)
|
|
벽설(碧雪) /
시종(腮腫)
, 구설생창(口舌生瘡)
|
|
보유화풍단(保幼化風丹) /
급경풍(急驚風)
|
|
붕사(硼砂)[1] /
노육반정(努肉攀睛)
|
|
붕사(硼砂)[2] /
설종(舌腫)
, 설창(舌脹)
|
|
붕사(硼砂)[3] /
후비(喉痺)
|
|
붕사산(硼砂散)[1] /
석림(石淋)
|
|
붕사산(硼砂散)[2] /
현옹(懸癰)
|
|
붕사원(硼砂元) /
구설생창(口舌生瘡)
, 구취(口臭)
|
|
비룡탈명단(飛龍奪命丹) /
정창(釘瘡)
, 발배(發背)
, 유옹(乳癰)
|
|
빙벽환(氷蘗丸) /
구설생창(口舌生瘡)
|
|
삼광고(三光膏) /
범토상안(犯土傷眼)
|
|
소단환(燒丹丸) /
태경(胎驚)
, 전간(癲癎)
|
|
소아초생구급방(小兒初生救急方)[13] /
초생불유(初生不乳)
|
|
신선탈명단(神仙奪命丹) /
구토(嘔吐)
|
|
옥설무우산(玉屑無憂散) /
골경(骨鯁)
, 전후풍(纏喉風)
|
|
옥약시(玉鑰匙) /
급후비(急喉痺)
|
|
우황산(牛黃散) /
구창(口瘡)
, 중악(重顎)
, 중설(重舌)
|
|
유인고(蕤仁膏) /
예장(翳障)
|
|
일념금산(一捻金散) /
아구창(鵝口瘡)
|
|
점예고(點瞖膏) /
예막(翳膜)
|
|
접골자금단(接骨紫金丹) /
골절(骨折)
|
|
주사고(朱砂膏) /
경계(驚悸)
|
|
진사고(辰砂膏)[2] /
태경(胎驚)
|
|
청대산(靑黛散)[1] /
중설(重舌)
|
|
춘설고(春雪膏)[2] /
예장(翳障)
, 난현풍(爛弦風)
|
|
취이산(吹耳散) /
풍열이롱(風熱耳聾)
|
|
치하감창일방(治下疳瘡一方)[1] /
하감창(下疳瘡)
|
|
칠보산(七寶散) /
쌍유아(雙乳蛾)
, 단유아(單乳蛾)
, 후폐(喉閉)
|
|
탈명산(奪命散)[1] /
급후비(急喉痺)
, 전후풍(纏喉風)
|
|
통애산(通隘散) /
실음(失音)
, 후비(喉痺)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