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신(茯神) / 복령

 익생양술에서 "복령"로 처방에 사용됨
 동의보감에서 "복신(茯神) / 복령"로 처방에 사용되었음.
분포 전국 각지 채취기간 가을~이듬해 봄
10~30cm 취급요령 햇볕에 말려 쓴다.
생지 벌목 후 3~4년 지난 소나무 뿌리 성미 평온하며 담백하고 달다.
분류 버섯류 독성여부 없다.
번식 균사 1회사용량 8~15g
약효 균괴(菌塊=菌核) 사용범위 해롭지는 않으나 치유되는 대로 중단한다.
특징 및 사용
솔풍령이라고도 한다. 소나무 뿌리에 기생하는 균체(菌體)로서 혹처럼 크게 자라는데, 소나무 그루터기 주변을 쇠꼬챙이로 찔러서 찾아낸다. 약으로 쓰기 위해 재배도 한다. 균체가 성장한 덩어리인 균핵(균괴)은 땅 밑에서 소나무 뿌리와 엉켜 있는데, 크기와 형태는 일정하지 않으나 대개 10~30cm 정도의 공 모양 또는 타원형이며 무게는 흔히 1kg 정도에 달하나 50g에서 10kg까지 다양하다. 표면은 적갈색 또는 흑갈색이고 꺼칠꺼칠한 편이며 종종 껍질[根皮]이 터져 있는 것도 있다. 육질의 과립상인 살은 신선한 냄새가 감도는데 흰색에서 엷은 홍색으로 변하며 방사상으로 균열이 생긴다. 빛깔이 흰색인 것을 백복령(白茯苓), 적색인 것을 적복령(赤茯苓)이라 하고 또 복령 속을 소나무 뿌리가 꿰뚫고 있는 것, 즉 소나무 뿌리를 내부에 감싸고 자란 것을 복신(茯神)이라 하며 복령의 껍질을 복령피라 하는데 모두 약으로 쓴다. 복신을 관통한 소나무 뿌리를 복신목(茯神木)이라 하는데 이 소나무 뿌리가 살아 있는 복신을 우량으로 친다. 백복령은 적송(赤松)의 뿌리에 기생하고 적복령은 곰솔[海松]의 뿌리에 기생한다. 벌목한 지 3~4년 지난 소나무 뿌리에서 채취하여 물에 담근 다음 부드러워졌을 때에 알맞게 잘라 햇볕에 말려 사용한다. 건재약상에서 살 때는 1년 미만 된 것을 고른다. 약으로 쓸 때는 산제 또는 환제로 사용하며, 술을 담가서도 쓴다. 복용 중에 뽕나무ㆍ오이풀ㆍ자라ㆍ진범ㆍ인삼을 금한다.
복신(茯神) / 복령
라틴명 Hoelen cum Pini Radix
약재의 효능 행수(行水)  (기기(氣機)를 잘 통하게 하고 수도(水道)를 소통, 조절하여 이수화습(利水化濕)하는 방법의 하나.)
화담(化痰)  (담(痰)을 삭이는 방법을 말함)
영심(寧心)
익지(益智)  (지혜를 더하는 효능임)
안혼백(安魂魄)  (혼백(魂魄)을 안정시키는 효능임)
벽불상(辟不祥)  (상서롭지 못한 것, 즉 재앙을 막는 효능임)
작용부위 비(脾) , 심(心)
성미 감담(甘淡) , 평(平)
약전기재 한국생약규격집
주의사항 복신목(茯神木)의 흰 부분
약재사용처방 가감온담탕(加減溫膽湯) /  경계(驚悸)정충(怔忡)
가미귀비탕(加味歸脾湯) /  간비노울(肝脾怒鬱)월경불통(月經不通)
가미사칠탕(加味四七湯)[2] /  경계(驚悸)
강기탕(降氣湯) /  기울(氣鬱)
강심단(降心丹) /  건망(健忘)
고암심신환(古庵心腎丸) /  심허(心虛)경계(驚悸)정충(怔忡)
교감단(交感丹) /  기울(氣鬱)
구원심신환(究原心腎丸) /  정충(怔忡)유정(遺精)적탁(赤濁)허로(虛勞)
귀비탕(歸脾湯) /  정충(怔忡)건망(健忘)
대아교원(大阿膠元) /  타혈(唾血)노수(勞嗽)토혈(吐血)
대오보환(大五補丸) /  심허(心虛)
대조경산(大調經散) /  산후소변불리(産後小便不利)산후부종(産後浮腫)
도씨도적각반탕(陶氏導赤各半湯) /  상한차후혼침(傷寒差後昏沈)
도씨승양산화탕(陶氏升陽散火湯) /  동계(動悸)
맥문동음자(麥門冬飮子) /  격소(膈消)
무비산약원(無比山藥元)[1] /  신허(腎虛)
무비산약원(無比山藥元)[2] /  칠상(七傷)오로(五勞)허로(虛勞)
벽손정자(辟巽錠子) /  급경풍(急驚風)파상풍(破傷風)만경풍(慢驚風)
보심환(補心丸) /  심허수전(心虛手戰)
보허음(補虛飮) /  기훈(氣暈)담연옹성(痰涎壅盛)
복량환(伏粱丸) /  심적(心積)
복령산(茯苓散) /  산후망견망언(産後妄見妄言)
복령음자(茯苓飮子) /  정충(怔忡)
복신(茯神)[1]>동의보감((東醫寶鑑) /  경계(驚悸)건망(健忘)
복신(茯神)[3] /  소복통(小腹痛)중기부족(中氣不足)
복신산(茯神散) /  대경불어(大驚不語)
복신탕(茯神湯)[1] /  육맥허약(六脈虛弱)
복신황기탕(茯神黃芪湯) /  과거독음치병(寡居獨陰致病)
비화탕(備化湯) /  각련(脚攣)온려(瘟癘)심복진창(心腹䐜脹)혈일(血溢)
사물안신탕(四物安神湯) /  정충(怔忡)
상기생산(桑寄生散) /  태루(胎漏)
석자제니탕(石子薺苨湯) /  강중(强中)
성심산(醒心散) /  심허열(心虛熱)
소아청심환(小兒淸心丸) /  경열(驚熱)
승마탕(升麻湯)[2] /  열비(熱痺)
십미도적산(十味導赤散) /  구설생창(口舌生瘡)심열(心熱)
안신보심탕(安神補心湯) /  경계(驚悸)정충(怔忡)
양심탕(養心湯) /  소수(少睡)경계(驚悸)
양혈안신탕(養血安神湯) /  경계(驚悸)
양혈청심탕(養血淸心湯) /  전광(癲狂)
억기산(抑氣散) /  부인잡병(婦人雜病)
영심고(寧心膏) /  급경풍(急驚風)
영양각탕(羚羊角湯)[2] /  자간(子癎)
영지원(寧志元) /  경계(驚悸)
오약평기탕(烏藥平氣湯) /  각기위증(脚氣危證)
온금산(溫金散) /  노수(勞嗽)
온신산(溫腎散) /  명문화쇠(命門火衰)요척통(腰脊痛)
온신환(溫腎丸) /  무사(無嗣)
올눌보천환(膃肭補天丸)[1] /  허손(虛損)음위(陰痿)
올눌보천환(膃肭補天丸)[2] /  허로(虛勞)
이신교제단(二神交濟丹) /  허로(虛勞)
익기안신탕(益氣安神湯) /  경계(驚悸)다몽(多夢)
익담탕(益膽湯) /  구고(口苦)
익영탕(益榮湯) /  황홀(恍惚)정충(怔忡)
익음신기환(益陰腎氣丸) /  신허내장(腎虛內障)
인삼산(人蔘散)[2] /  주상(酒傷)
인삼음(人蔘飮) /  내상발열(內傷發熱)
인숙산(仁熟散) /  담허(膽虛)
자음강화환(滋陰降火丸) /  음허화동(陰虛火動)
자음영신탕(滋陰寧神湯) /  전간(癲癎)
정기보허탕(正氣補虛湯) /  양허(陽虛)
정백환(定魄丸) /  경간(驚癎)
정신단(靜神丹) /  경계(驚悸)
정지환(定志丸) /  심허(心虛)건망(健忘)
조원산(調元散) /  행지(行遲)
주자독서환(朱子讀書丸) /  건망(健忘)
증손오적환(增損五積丸)[4] /  오적(五積)심적(心積)
진사묘향산(辰砂妙香散) /  정충(怔忡)경계(驚悸)
천궁산(川芎散)[1] /  풍훈(風暈)
천을환(天乙丸) /  경풍(驚風)단독(丹毒)
청심보혈탕(淸心補血湯) /  경계(驚悸)
청심환(淸心丸)[2] /  항문양통(肛門痒痛)치루(痔瘻)
청심환(淸心丸)[4] /  심옹(心癰)
축어탕(逐瘀湯) /  치(痔)
투빙단(透氷丹) /  중풍(中風)중풍열증(中風熱證)탄탄(癱瘓)
팔물정지원(八物定志元) /  경계(驚悸)
팔보회춘탕(八寶回春湯) /  중풍(中風)허증(虛症)
행교음가감방(杏膠飮加減方)[5] /  담수(膽嗽)
현토고본환(玄菟固本丸)[2] /  신허(腎虛)
호박서각고(琥珀犀角膏) /  구설생창(口舌生瘡)
혼원단(混元丹) /  허로이수(虛勞羸瘦)
황기복신탕(黃芪茯神湯) /  폭음(暴音)심통(心痛)울모(鬱冒)
황기십보탕(黃芪十補湯) /  음양구허(陰陽俱虛)
황기탕(黃芪湯)[5] /  소갈(消渴)
황련저두환(黃連猪肚丸)[2] /  중소(中消)
황련청심음(黃連淸心飮) /  유정(遺精)설정(泄精)