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령(茯苓) / 복령

 익생양술에서 "복령"로 처방에 사용됨
 동의보감에서 "복령(茯苓) / 복령"로 처방에 사용되었음.
분포 전국 각지 채취기간 가을~이듬해 봄
10~30cm 취급요령 햇볕에 말려 쓴다.
생지 벌목 후 3~4년 지난 소나무 뿌리 성미 평온하며 담백하고 달다.
분류 버섯류 독성여부 없다.
번식 균사 1회사용량 8~15g
약효 균괴(菌塊=菌核) 사용범위 해롭지는 않으나 치유되는 대로 중단한다.
특징 및 사용
솔풍령이라고도 한다. 소나무 뿌리에 기생하는 균체(菌體)로서 혹처럼 크게 자라는데, 소나무 그루터기 주변을 쇠꼬챙이로 찔러서 찾아낸다. 약으로 쓰기 위해 재배도 한다. 균체가 성장한 덩어리인 균핵(균괴)은 땅 밑에서 소나무 뿌리와 엉켜 있는데, 크기와 형태는 일정하지 않으나 대개 10~30cm 정도의 공 모양 또는 타원형이며 무게는 흔히 1kg 정도에 달하나 50g에서 10kg까지 다양하다. 표면은 적갈색 또는 흑갈색이고 꺼칠꺼칠한 편이며 종종 껍질[根皮]이 터져 있는 것도 있다. 육질의 과립상인 살은 신선한 냄새가 감도는데 흰색에서 엷은 홍색으로 변하며 방사상으로 균열이 생긴다. 빛깔이 흰색인 것을 백복령(白茯苓), 적색인 것을 적복령(赤茯苓)이라 하고 또 복령 속을 소나무 뿌리가 꿰뚫고 있는 것, 즉 소나무 뿌리를 내부에 감싸고 자란 것을 복신(茯神)이라 하며 복령의 껍질을 복령피라 하는데 모두 약으로 쓴다. 복신을 관통한 소나무 뿌리를 복신목(茯神木)이라 하는데 이 소나무 뿌리가 살아 있는 복신을 우량으로 친다. 백복령은 적송(赤松)의 뿌리에 기생하고 적복령은 곰솔[海松]의 뿌리에 기생한다. 벌목한 지 3~4년 지난 소나무 뿌리에서 채취하여 물에 담근 다음 부드러워졌을 때에 알맞게 잘라 햇볕에 말려 사용한다. 건재약상에서 살 때는 1년 미만 된 것을 고른다. 약으로 쓸 때는 산제 또는 환제로 사용하며, 술을 담가서도 쓴다. 복용 중에 뽕나무ㆍ오이풀ㆍ자라ㆍ진범ㆍ인삼을 금한다.
복령(茯苓) / 복령
라틴명 Poria(Hoelen)
약재의 효능 건비(健脾)  (비(脾)가 허(虛)한 것을 보(補)하여 운화기능(運化機能)이 약화된 것을 치료하는 방법)
영심(寧心)
삼습(渗濕)  (습기(濕氣)를 소변으로 빼내는 효능임)
이수(利水)  (수(水)를 원활하게 빼는 효능임)
개위(開胃)  (위(胃)를 열어주는 효능임)
조중(調中)  (중초(中焦)를 조화롭게 하는 효능임)
장지(壯志)  (뜻을 튼튼히 하는 효능임)
장음(長陰)  (음기(陰氣)를 기르는 효능임)
생진(生津)  (진액을 자양하는 약물을 사용하여 고열 등의 원인으로 인한 진액 손상을 치료하는 방법.)
지갈(止渴 )  (갈증을 그치게하는 효능임)
안태(安胎)  (태기(胎氣)를 안정시키는 효능임)
윤조(潤燥)  (자윤(滋潤)하는 약물을 사용하여 조증(燥證)을 치료하는 방법.)
평화(平火)  (화(火)의 기운을 정상으로 유지하는 효능임)
안신(安神)  (담기허(膽氣虛) 또는 담열(膽熱)로 인하여 발생되는 양기조동(陽氣躁動), 심계(心悸), 실면(失眠), 경간(驚癇), 광망(狂妄), 번조이노(煩躁易怒) 등의 병증이 있을 때, 정신을 안정시키는 방법임.)
이소변(利小便)  (소변을 잘 나오게 하는 효능임)
통관절(通關節)  (관절의 기운을 소통시켜 관절운동을 원활히 하는 효능임)
난요슬(暖腰膝)  (허리와 무릎을 따뜻하게 하는 효능임)
불기(不飢)  (배고픔을 없게 하는 효능임)
연년(延年)
작용부위 비(脾) , 신(腎) , 심(心) , 폐(肺)
성미 감담(甘淡) , 평(平)
약전기재 대한약전 , 일본약국방 , 중국약전
주의사항 바깥층을 거의 제거한 균핵. 신휴음허(腎虧陰虛), 소변불리혹불금(小便不利或不禁), 허한정활자(虛寒精滑者)는 복용하지 말 것.
약재사용처방 가감보화환(加減保和丸) /  식상(食傷)숙식(宿食)
가감청비탕(加減淸脾湯) /  해학(痎瘧)
가미양장탕(加味養臟湯) /  휴식리(休息痢)
가자산(訶子散)[3] /  심비통(心脾痛)
갈화해정탕(葛花解컲湯) /  주상(酒傷)
감리근탕(甘李根湯) /  기상충(氣上衝)상한동기(傷寒動氣)
개결도인환(開結導引丸) /  각기(脚氣)
겁로산(劫勞散) /  폐위(肺痿)노수(勞嗽)
계령감로음(桂苓甘露飮)[2] /  서열번갈(暑熱煩渴)
과루기실탕(瓜蔞枳實湯)[2] /  담화치(痰火痓)
구미수련환(九味茱連丸) /  탄산(呑酸)
기령환(杞苓丸) /  신허내장(腎虛內障)안목혼암(眼目昏暗)
기실도체환(枳實導滯丸) /  상식(傷食)
노강양위탕(露薑養胃湯) /  구학(久瘧)
당귀사역탕(當歸四逆湯)[1] /  한산(寒疝)
대봉수단(大鳳髓丹) /  정기불고(精氣不固)
대안환(大安丸) /  식적(食積)
대황좌경탕(大黃左經湯) /  각기(脚氣)
목향기각환(木香枳殼丸) /  탄산(呑酸)적취(積聚)
목향도체환(木香導滯丸) /  상식(傷食)
백봉고(白鳳膏) /  허로(虛勞)폐위(肺痿)해혈(咳血)
보화환(保和丸)[1] /  비괴(痞塊)적취(積聚)
보화환(保和丸)[3] /  주적(酒積)식적(食積)
복령(茯苓)[2] /  소변불통(小便不通)오림(五淋)
복령계감탕(茯苓桂甘湯) /  상한제하계(傷寒臍下悸)분돈(奔豚)
부자탕(附子湯)[2] /  상한소음병(傷寒少陰病)
산조인탕(酸棗仁湯)[3] /  상한허번(傷寒虛煩)
삼황탕(三黃湯)[1] /  구감(口甘)
소감환(消疳丸) /  오감(五疳)
소풍산(消風散)[1] /  부인혈풍(婦人血風)두풍(頭風)
수풍환(搜風丸)[2] /  열비(熱秘)풍비(風秘)
순기도담탕(順氣導痰湯)[1] /  담음(痰飮)
승마화기음(升麻和氣飮) /  개선(疥癬)
시호궁귀탕(柴胡芎歸湯) /  야발음학(夜發陰瘧)
연심산(蓮心散)[2] /  노채(勞瘵)
영지화담탕(寧志化痰湯) /  전광(癲狂)
오음탕(五飮湯) /  유음(留飮)벽음(癖飮)일음(溢飮)
운모고(雲母膏)[1] /  골저(骨疽)내저(內疽)나력(瘰癧)
운모고(雲母膏)[2] /  옹저(癰疽)
인삼양위탕(人蔘養胃湯) /  상한음증(傷寒陰證)
인삼청폐산(人蔘淸肺散) /  담수(痰嗽)실음(失音)
인진귤피탕(茵蔯橘皮湯) /  음황(陰黃)
인진복령탕(茵蔯茯苓湯) /  음황(陰黃)
저근백피환(樗根白皮丸) /  유정(遺精)
정전가미이진탕(正傳加味二陳湯) /  식담(食痰)
조위산(調衛散) /  숙식(宿食)내상비위증(內傷脾胃證)
증미이진탕(增味二陳湯) /  탄산(呑酸)
증손오적환(增損五積丸)[1] /  비적(脾積)오적(五積)
증손오적환(增損五積丸)[2] /  간적(肝積)오적(五積)
증손오적환(增損五積丸)[3] /  신적(腎積)오적(五積)
증손오적환(增損五積丸)[4] /  심적(心積)오적(五積)
증손오적환(增損五積丸)[5] /  오적(五積)폐적(肺積)
진무탕(眞武湯) /  상한소음병(傷寒少陰病)
척담탕(滌痰湯) /  중풍(中風)담미심규(痰迷心竅)
청객탕(淸喀湯) /  객혈(喀血)
청심온담탕(淸心溫膽湯) /  전간(癲癎)
파적도음환(破積導飮丸) /  담적(痰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