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하국(半夏麴) / 반하
익생양술에서
"반하"로 처방에 사용됨
동의보감에서 "반하국(半夏麴) / 반하"로 처방에 사용되었음.
이명
수옥(水玉)
지문(地文)
치모읍(雉毛邑)
분포 |
전국 각지 |
채취기간 |
7~9월 |
키 |
20~40cm |
취급요령 |
햇볕에 말려 쓴다. |
생지 |
밭, 습지 |
성미 |
따뜻하며, 맵다. |
분류 |
여러해살이풀 |
독성여부 |
있다. |
번식 |
분주ㆍ씨 |
1회사용량 |
알줄기 4~6g |
약효 |
알줄기 |
사용범위 |
많이 쓰지 않는 것이 좋다. |
잎
알줄기에서 길이 10~20cm의 긴 잎자루에 달린 겹잎이 1~2개 나오는데 3개의 작은 잎으로 구성되어 있다. 길이 3~12cm, 나비 1~5cm인 작은 잎은 달걀꼴, 달걀을 닮은 타원형, 긴 타원형, 선 모양의 댓잎피침형 등 모양에 변화가 많은데 양 끝이 좁으며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양면에 털은 없다. 작은 잎에는 잎자루가 거의 없다.
꽃
6월에 뿌리(잎줄기)에서 솟은 꽃줄기 끝에 엷은 황백색 꽃이 육수 꽃차례를 이루며 달려 핀다. 꽃턱잎은 녹색이며 길이 6~7cm이고 겉에 털이 없으나 안쪽에 털이 있다. 암꽃은 꽃차례의 밑 부분에 달려 꽃턱잎과 완전히 붙는다. 약간 떨어진 위쪽에는 수꽃이 1cm 정도의 길이에 붙어 달리고 끝이 길게 자라 비스듬히 선다.
열매
7~8월에 녹색의 장과가 달려 익는데 가늘고 작다.
특징 및 사용
끼무릇ㆍ법반하ㆍ소천남성이라고도 한다. 반 여름에 싹이 나와 꽃이 핀다고 하여 반하라는 이름이 붙었다. 땅 속에 있는 알줄기는 둥글며 지름이 1cm 정도인데 여러 개의 긴 실뿌리를 낸다. 잎자루의 밑 부분 안쪽이나 때로는 위 끝에 작은 살눈이 1개씩 생겼다가 떨어져 번식한다. 하늘의 닭인 꿩이 반하를 캐 오라는 천제(天帝)의 명을 받고 지상에 내려와 반하를 캐서 먹어 보고는 하도 맛이 좋아 계속 캐 먹으며 하늘로 올라갈 생각을 않자, 화가 난 천제가 천둥 번개로 호령하여 돌아오기를 재촉하니, 꿩이 ‘반하를 캐거든 가지고 올라가겠다’며 ‘캐거덩 캐거덩’ 하고 하소연했다는 이야기가 전해질 정도로 꿩이 제일 좋아하는 풀로 알려져 있다. 알줄기에 독성이 있으나 약재로 이용된다. 약으로 쓸 때는 탕으로 하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사용하며, 술을 담가서도 쓴다. 생강과 함께 쓰면 더욱 효과적이다.
익생양술 효능
주로 호흡기ㆍ순환계 질환을 다스린다.
반하국(半夏麴) / 반하국
라틴명 |
Pinelliae Rhizoma Fermentata |
약재의 효능 |
소식(消食)
(음식을 소화시키는 효능임)
|
|
화체(化滯)
(정체된 것을 풀어주는 효능임)
|
|
개울(開鬱)
(막힌 것을 열어주는 효능임)
|
|
조습(燥濕)
(고조(苦燥)한 약물로 습사(濕邪)를 제거하는 방법으로 중초습증(中焦濕證)에 적용.)
|
|
화담(化痰)
(담(痰)을 삭이는 방법을 말함)
|
|
지해(止咳)
(기침을 그치게 하는 효능임)
|
작용부위 |
위(胃)
, 폐(肺)
|
성미 |
고신(苦辛)
, 온(溫)
|
약전기재 |
중국약전
|
주의사항 |
반하를 생강즙, 소맥분과 섞어 띄워서 그독성을 경감시킴. |
독성 |
Low / toxic class of herbaceous folk medicine.(toxic; active but toxic, cautious/very toxic, at small dose, usually used for emergency case) 1,2). 1) H.K. Do, Shin Rhong Bon Cho Kyung, 452. 2) H.T. Rhu, Hyang Yak Jip Sung Bang, 1431. |
약재사용처방 |
가미불환금정기산(加味不換金正氣散) /
옹저(癰疽)
|
|
가미인삼자완산(加味人蔘紫菀散) /
노수(勞嗽)
|
|
강출탕(薑朮湯) /
정충(怔忡)
|
|
겁로산(劫勞散) /
노수(勞嗽)
, 폐위(肺痿)
|
|
과루환(瓜蔞丸) /
식적수(食積嗽)
|
|
궁궁산(芎藭散)[1] /
풍훈(風暈)
, 간허두훈(肝虛頭暈)
|
|
기실소비환(枳實消痞丸) /
흉비통(胸痞痛)
|
|
대이향산(大異香散) /
곡창(穀脹)
, 기창(氣脹)
|
|
두구귤홍산(豆蔲橘紅散) /
식상(食傷)
|
|
마황백출탕(麻黃白朮湯) /
풍학(風瘧)
|
|
목향반하환(木香半夏丸) /
체이(滯頤)
|
|
목향빈랑환(木香檳榔丸)[4] /
기창(氣脹)
, 곡창(穀脹)
|
|
반하국(半夏麴) /
습담(濕痰)
, 담화(痰火)
, 노담(老痰)
, 풍담(風痰)
|
|
보심환(補心丸) /
심허수전(心虛手戰)
|
|
복령조혈탕(茯苓調血湯) /
요혈(尿血)
|
|
분기음(分氣飮) /
천급(喘急)
, 수종(水腫)
|
|
비방화체환(秘方化滯丸) /
적취(積聚)
, 징벽(癥癖)
|
|
비전강기탕(秘傳降氣湯) /
기역(氣逆)
|
|
삼기탕(蔘芪湯)[2] /
도한(盜汗)
|
|
삼습탕(渗濕湯)[2] /
한습(寒濕)
|
|
생위단(生胃丹) /
불사식(不思食)
, 비위허약(脾胃虛弱)
|
|
선복화탕(旋覆花湯) /
산후천급(産後喘急)
|
|
소자강기탕(蘇子降氣湯) /
상기천급(上氣喘急)
|
|
소핵환(消核丸) /
경항결핵(頸項結核)
|
|
안위산(安胃散) /
불사식(不思食)
, 내상비위증(內傷脾胃證)
|
|
양심탕(養心湯) /
경계(驚悸)
, 소수(少睡)
|
|
영양각산(羚羊角散)[1] /
녹풍내장(綠風內障)
|
|
옥지원(玉芝元) /
담수(痰嗽)
|
|
온비단(溫脾丹) /
체이(滯頤)
|
|
온위탕(溫胃湯)[3] /
한창(寒脹)
|
|
온해산(溫解散) /
누창(瘻瘡)
, 감루(疳瘻)
|
|
응신음자(凝神飮子) /
노채(勞瘵)
|
|
이국원(二麴元) /
내상비위증(內傷脾胃證)
, 불사식(不思食)
|
|
이향산(二香散)[2] /
옹저(癰疽)
|
|
인삼산(人蔘散)[3] /
담수(痰嗽)
|
|
인삼전호탕(人蔘前胡湯) /
담훈(痰暈)
|
|
인삼정천탕(人蔘定喘湯) /
풍한천(風寒喘)
|
|
인삼청기산(人蔘淸肌散) /
골증(骨蒸)
, 무한(無汗)
|
|
인삼평보탕(人蔘平補湯) /
신허(腎虛)
|
|
자비환(滋脾丸) /
식상(食傷)
|
|
자침환(紫沈丸) /
열격(噎膈)
|
|
적담환(敵痰丸) /
담음(痰飮)
|
|
주적환(酒積丸) /
주적(酒積)
|
|
천금지미환(千金指迷丸) /
담음(痰飮)
|
|
청금탕(淸金湯) /
기천(氣喘)
|
|
치오심열일방(治五心熱一方) /
오심번열(五心煩熱)
|
|
침향마비산(沈香磨脾散) /
한복통(寒腹痛)
|
|
통치성음약일방(通治聲音藥一方) /
성아(聲啞)
, 건해(乾咳)
, 건수(乾嗽)
|
|
팔선산(八仙散) /
만경풍(慢驚風)
|
|
화중길경탕(和中桔梗湯) /
상초열(上焦熱)
, 구토(嘔吐)
|
|
황과루환(黃瓜蔞丸) /
식적담수(食積痰嗽)
|
|
후박탕(厚朴湯)[1] /
대변비결(大便秘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