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초(朴硝) / 미라빌라이트
동의보감에서 "박초(朴硝) / 미라빌라이트"로 처방에 사용되었음.
박초(朴硝) / 미라빌라이트
라틴명 |
Mirabilitum |
약재의 효능 |
사열통변(瀉熱通便)
(사열(瀉熱)하여 대변, 소변이 잘 통하게 하는 효능임)
|
|
윤조연견(潤燥軟堅)
(마른 곳을 적셔주고 딱딱한 것을 풀어주는 효능임)
|
|
청화소종(淸火消腫)
(화기를 식혀주고 그로 인해 생긴 조직의 붓기를 가라앉히는 효능임)
|
|
거실열(去實熱)
(실열(實熱)을 제거하는 효능임)
|
|
척장중숙구(滌腸中宿垢)
(장(腸)안의 오래된 노폐물들을 제거하는 효능임)
|
작용부위 |
대장(大腸)
, 위(胃)
|
성미 |
대한(大寒)
, 함고(鹹苦)
|
약재사용처방 |
가감복령환(加減茯苓丸) /
비통(臂痛)
|
|
갈근탕(葛根湯) /
상한양독(傷寒陽毒)
|
|
내고청심산(內固淸心散) /
악창(惡瘡)
, 옹저(癰疽)
, 심옹(心癰)
|
|
누로음자(漏蘆飮子) /
부골저(附骨疽)
, 악창(惡瘡)
|
|
도인전(桃仁煎) /
혈고(血蠱)
, 혈가(血瘕)
|
|
동원탁리산(東垣托裏散) /
내저(內疽)
, 위완옹(胃脘癰)
|
|
목향도기탕(木香導氣湯) /
금구리(噤口痢)
, 이질(痢疾)
|
|
박초(朴硝)[1] /
월경불통(月經不通)
, 징가(癥瘕)
|
|
박초(朴硝)[2] /
후비(喉痺)
|
|
박초(朴硝)[3] /
사태불하(死胎不下)
|
|
부약(敷藥) /
대풍창(大風瘡)
|
|
빙매환(氷梅丸) /
인후폐쇄(咽喉閉鎖)
|
|
빙상산(氷霜散) /
탕화상(燙火傷)
|
|
사생환(四生丸)[2] /
적열(積熱)
, 담화(痰火)
|
|
삼화탕(三和湯)[1] /
혈폐(血閉)
, 열결(熱結)
|
|
세하감창방(洗下疳瘡方) /
하감창(下疳瘡)
|
|
소담복령환(消痰茯苓丸) /
담음비통(痰飮臂痛)
, 담음유주(痰飮流注)
|
|
외부신고(外敷神膏) /
적취(積聚)
, 혈고(血鼓)
, 창만(脹滿)
|
|
용뇌산(龍腦散) /
화예백함(花瞖白陷)
|
|
윤장탕(潤腸湯)[2] /
노인대변비결(老人大便秘結)
|
|
점해목동통약(點蟹目疼痛藥) /
해목동통(蟹目疼痛)
|
|
천금도인전(千金桃仁煎) /
월경불통(月經不通)
, 혈가(血瘕)
|
|
첩비고(貼痞膏) /
비괴(痞塊)
|
|
청심탕(淸心湯) /
상초열(上焦熱)
|
|
초황고(硝黃膏) /
적괴(積塊)
|
|
추풍산(追風散)[2] /
대풍창(大風瘡)
|
|
춘설고(春雪膏)[2] /
난현풍(爛弦風)
, 예장(翳障)
|
|
취후산(吹喉散)[1] /
단유아(單乳蛾)
, 쌍유아(雙乳蛾)
|
|
취후산(吹喉散)[3] /
후폐(喉閉)
|
|
치대풍창부약(治大風瘡敷藥) /
대풍창(大風瘡)
|
|
치탈항일방(治脫肛一方) /
탈항(脫肛)
|
|
해어독방(解魚毒方) /
생회중독(生鱠中毒)
|
|
호박고(琥珀膏)[1] /
적괴(積塊)
|
|
홍설통중산(紅雪通中散) /
중설(重舌)
, 구창(口瘡)
|
|
황백산(黃柏散)[2] /
탕화상(燙火傷)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