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과(木瓜) / 모과나무

 익생양술에서 "모과나무"로 처방에 사용됨
 동의보감에서 "모과(木瓜) / 모과나무"로 처방에 사용되었음.
분포 중부 이남 채취기간 9~11월
10m 정도 취급요령 햇볕에 말려 쓴다.
생지 마을 부근에 식재 성미 따뜻하며, 시다.
분류 낙엽 활엽 교목 독성여부 없다.
번식 씨ㆍ꺾꽂이 1회사용량 열매 10~20g
약효 열매 사용범위 많이 먹어도 해롭지 않다.
동속약초 명자나무(명자꽃)ㆍ잔털명자나무ㆍ줄명자나무
어긋나며 타원 모양의 달걀꼴 또는 긴 타원형이다. 양 끝이 좁고 위쪽 가장자리에 잔톱니가 있으며 밑 부분에는 샘[腺]이 있다. 뒷면에 털이 있으나 점차 없어진다. 턱잎은 댓잎피침형이며 가장자리에 털이 있고 일찍 떨어진다.
5월에 지름 2.5~3cm인 엷은 홍색의 오판화가 가지 끝에 1개씩 달려 핀다. 꽃받침 조각은 달걀꼴이며 표면에 털이 없으나 안쪽에 흰 털이 있다. 5개인 꽃잎은 거꿀달걀꼴이고 밑 부분에 잔털이 있으며 끝이 오목하다. 수술은 많으며 길이는 7~8mm인데 털이 없고 꽃밥은 노란색이다.
열매
9월에 길이 10~20cm, 지름 8~15cm인 타원형 또는 거꿀달걀꼴의 이과가 크게 열려 노랗게 익는다. 목질이 발달해 있으며 속에 흑갈색의 씨가 많이 들어 있다. 익으면 향기가 매우 좋으나 신맛이 강하다.
특징 및 사용
모개나무ㆍ목과(木果)라고도 한다. 어린가지에 털이 있으며 2년생 가지는 자줏빛이 도는 갈색의 윤기가 있다. 나무껍질이 조각으로 벗겨져서 구름무늬 모양이 된다. 높이 20m, 지름 1m까지 자라는 것도 있다. 모과나무는 늙은 사람이 심어야지 젊은 사람이 심어서는 안 된다는 속신이 있다. 그 이유는 모과나무가 열매를 맺으면 그것을 심은 사람은 죽게 된다는 속설 때문이다. 관상용ㆍ식용ㆍ약용으로 이용된다. 열매를 모과라 한다. 과육이 목질처럼 단단하며 향기가 좋고 신맛이 강하여 생식하거나 차로 달여 마시거나 술을 담그는데 그 술을 모과주라 한다. 약으로 쓸 때는 탕으로 하거나 환제 또는 산제로 하여 사용한다.
모과(木瓜) / 모과나무 열매
라틴명 Chaenomelis Fructus
약재의 효능 서근(舒筋)  (근육을 이완시키는 효능임)
활락(活絡)  (락맥(絡脈)의 운행을 활발히 하는 효능임)
평간(平肝)  (간기(肝氣)가 몰리거나 치밀어 오르거나 간양(肝陽)이 왕성(旺盛)할 때 간기를 화평(和平)하게 해주는 방법임)
화위(和胃)  (위기(胃氣)를 조화시킬 때 쓰는 방법을 말함)
거습(祛濕)  (약재를 이용하여 습사(濕邪)를 없애는 것임)
지통(止痛)  (통증(痛症)을 그치게 하는 효능임)
작용부위 간(肝) , 비(脾)
성미 산(酸) , 온(溫)
약전기재 원색화한약도감 , 한국생약규격집
주의사항 음허(陰虛), 비위유적체자(脾胃有積滯者)는 복용하지 말 것.
독성 Mild; active, but toxicity appears very mild unless used for long time 1,2).
1) H.K. Do, Shin Rhong Bon Cho Kyung, 452.
2) H.T. Rhu, Hyang Yak Jip Sung Bang, 1431.
약재사용처방 가감복령환(加減茯苓丸) /  비통(臂痛)
가감위령탕(加減胃苓湯)[1] /  부종(浮腫)
가미대보탕(加味大補湯) /  탄탄(癱瘓)
가미사근원(加味四斤元) /  각슬위약(脚膝痿弱)각슬산통(脚膝酸痛)
가미창백산(加味蒼柏散) /  습각기(濕脚氣)
균기산(均氣散) /  기허불수(氣虛不遂)중풍(中風)
녹용사근환(鹿茸四斤丸) /  근골위약(筋骨痿弱)신연(身軟)
모과(木瓜)[4] /  각기상충(脚氣上衝)
모과(木瓜)[5] /  요각습비(腰脚濕痺)
모과(木瓜)[6] /  곽란전근(霍亂轉筋)
모과(木瓜)[7] /  구역(嘔逆)
모과전(木瓜煎) /  항강(項强)
모과탕(木瓜湯) /  곽란전근(霍亂轉筋)
모과환(木瓜丸) /  초생토유(初生吐乳)
목유산(木萸散) /  전근(轉筋)습곽란(濕霍亂)
목유탕(木萸湯) /  각기(脚氣)
목향유기음(木香流氣飮) /  기통(氣痛)종창(腫脹)
무운산(巫雲散) /  수발황락(鬚髮黃落)
복령탕(茯苓湯)[2] /  천포창(天疱瘡)양매창(楊梅瘡)
부자산수유탕(附子山茱萸湯) /  중만(中滿)족위(足痿)
부종통치일방(浮腫通治一方) /  음종(陰腫)
비화탕(備化湯) /  각련(脚攣)온려(瘟癘)심복진창(心腹䐜脹)혈일(血溢)
빈소산(檳蘇散) /  각기(脚氣)
삼두해정탕(三豆解컲湯) /  주상(酒傷)
삼완산(三脘散) /  각기충심(脚氣衝心)
삼장군원(三將軍元) /  각기위증(脚氣危證)
삼화산(三和散) /  기울(氣鬱)
삼화탕(三和湯)[2] /  대변비결(大便秘結)
삼황패독산(三黃敗毒散) /  양매창(楊梅瘡)천포창(天疱瘡)
생부제습탕(生附除濕湯) /  한습(寒濕)
서근보안산(舒筋保安散) /  탄탄(癱瘓)중풍(中風)
선유량탕(仙遺粮湯) /  양매창(楊梅瘡)경분독(輕粉毒)
선유량환(仙遺粮丸) /  양매창(楊梅瘡)
소서십전음(消暑十全飮) /  상서토사(傷暑吐瀉)
소종유량탕(消腫遺粮湯) /  양매창(楊梅瘡)
승준환(勝駿丸) /  각기(脚氣)
실비산(實脾散) /  수종(水腫)
십미향유음(十味香薷飮) /  중갈(中暍)
오가피산(五加皮散)[2] /  행지(行遲)
오매모과탕(烏梅木瓜湯) /  주갈(酒渴)
오수삼궤환(五獸三匱丸) /  양각위연(兩脚痿軟)간신구허(肝腎俱虛)
오약평기탕(烏藥平氣湯) /  각기위증(脚氣危證)
우슬모과탕(牛膝木瓜湯) /  목적(目赤)흉협고만(胸脇苦滿)소복통(小腹痛)이롱(耳聾)
육화탕(六和湯)[1] /  곽란전근(霍亂轉筋)중서(中暑)
정순탕(靜順湯) /  구토(嘔吐)신열(身熱)창양(瘡瘍)두통(頭痛)기울(氣鬱)
종용우슬탕(蓯蓉牛膝湯) /  장명(腸鳴)소복통(小腹痛)당설(溏泄)
주자모과죽(酒煮木瓜粥) /  각슬긴급(脚膝緊急)
청서육화탕(淸暑六和湯) /  학리(瘧痢)서열증(暑熱證)곽란(霍亂)
청열사습탕(淸熱瀉濕湯) /  습각기(濕脚氣)
향박음자(香朴飮子) /  상서토사(傷暑吐瀉)
회수산(回首散) /  항강(項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