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선(鳴蟬) / 매미
익생양술에서
"매미"로 처방에 사용됨
동의보감에서 "명선(鳴蟬) / 매미"로 처방에 사용되었음.
분포 |
전국 |
채취기간 |
6~7월 |
키 |
4.5~5cm |
취급요령 |
물에 찐 후 말려 쓴다. |
생지 |
나뭇등걸 |
성미 |
차며, 달고 짜다. |
분류 |
곤충 |
독성여부 |
없다 |
번식 |
산란 |
1회사용량 |
1~3개 |
약효 |
전체 |
사용범위 |
치유되는 대로 중단한다. (임산부는 조심하여 사용한다) |
특징 및 사용
유지매미는 알이 부화되어 애벌레가 되는데, 땅속에서 5년 동안 나무뿌리의 즙을 먹고 자란다. 6년째가 되면 애벌레는 땅 표면 가까이 굴을 파고 밖으로 나올 준비를 한다. 땅 위로 나온 애벌레는 적당한 나무나 풀을 찾아 기어 올라가 허물을 벗는데 보통 오후 7시부터 9시 사이에 가장 많다. 가루나 환제로 하여 복용한다. 매미껍질을 선태라 하며, 차며 달고 짜다. 이비인후과 질환에 효험하다.
명선(鳴蟬) / 매미
라틴명 |
Cryptotympana Corpus |
약재의 효능 |
청열(淸熱)
(열기를 성질이 차거나 서늘한 약으로 식히는 효능임)
|
|
소풍(疎風)
(풍사(風邪)가 인체에 침입한 것을 거풍해표약(祛風解表藥)을 사용하여 소산(疎散)시키는 방법임)
|
|
살충(殺蟲)
(기생충을 없애는 효능임)
|
|
타태(墮胎)
(임신 3개월 이전, 태아가 형상을 갖추기 전에 유산되는 것.)
|
|
구풍산열(驅風散熱)
(인체에 침입한 풍사(風邪)를 쫓고 열을 내리는 효능임)
|
작용부위 |
간(肝)
, 폐(肺)
|
성미 |
한(寒)
, 함감(鹹甘)
|
독성 |
Mild; active, but toxicity appears very mild unless used for long time 1,2). 1) H.K. Do, Shin Rhong Bon Cho Kyung, 452. 2) H.T. Rhu, Hyang Yak Jip Sung Bang, 1431. |
약재사용처방 |
계두환(鷄頭丸) /
어지(語遲)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