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간(猪肝) / 돼지
익생양술에서
"돼지"로 처방에 사용됨
동의보감에서 "저간(猪肝) / 돼지"로 처방에 사용되었음.
분포 |
전국 |
채취기간 |
연중 |
키 |
1~2.5m |
취급요령 |
용도에 따라 쓴다. |
생지 |
농가, 가축장 등 사육 |
성미 |
서늘하며, 담백하다. |
분류 |
포유류(가축) |
독성여부 |
없다. |
번식 |
태생 |
1회사용량 |
적당량 |
약효 |
전체 |
사용범위 |
치유되는 대로 중단한다. |
특징 및 사용
멧돼지과에 속하는 가축으로 야생의 멧돼지를 사육한 것이다. 눈은 작고 뽀족한 입 위에 두꺼운 육질 부분이 있으며 그곳에 콧구멍이 있어 땅을 파는데 적합하다. 몸은 둥글고 비대하며 피부가 두껍고 네 다리가 짧으며 머리는 작으나 목이 굵다. 다리는 네 개의 발톱이 있고 꼬리가 짧다. 체질이 강건하여 기후와 풍토에 대한 적응력이 크고 조속 다산하며 고기 맛이 좋아 여러가지로 가공된다. 내장, 뼈, 기름 등은 이용가치가 크다. 품종은 재래종, 버크셔, 요크셔 등 여러가지가 있다. 식용, 공업용, 약용으로 다양하게 쓰인다.
저간(猪肝) / 돼지 간
라틴명 |
Suis Jecur |
약재의 효능 |
보간(補肝)
(간(肝)을 보하는 효능임)
|
|
양혈(養血)
(보혈약(補血藥)을 사용하여 혈(血)을 자양(滋養)하는 효능임)
|
|
명목(明目)
(눈을 밝게 하는 효능임)
|
작용부위 |
간(肝)
|
성미 |
감고(甘苦)
, 온(溫)
|
독성 |
Mild; active, but toxicity appears very mild unless used for long time 1,2). 1) H.K. Do, Shin Rhong Bon Cho Kyung, 452. 2) H.T. Rhu, Hyang Yak Jip Sung Bang, 1431. |
약재사용처방 |
목향산(木香散)[1] /
활설(滑泄)
, 활설(滑泄)
|
|
작맹산(雀盲散) /
간허작목(肝虛雀目)
|
|
저간(猪肝)[1] /
습설(濕泄)
, 냉설(冷泄)
|
|
저간(猪肝)[2] /
간열목적종통(肝熱目赤腫痛)
|
|
저간(猪肝)[3] /
각기상충(脚氣上衝)
|
|
저간(猪肝)[4] /
습증(濕證)
|
|
저간(猪肝)[5] /
창만(脹滿)
, 부종(浮腫)
|
|
합분환(蛤粉丸) /
간허작목(肝虛雀目)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