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활(獨活) / 독활

 익생양술에서 "독활"로 처방에 사용됨
 동의보감에서 "독활(獨活) / 독활"로 처방에 사용되었음.
분포 전국 각지 채취기간 가을~이듬해 봄
1.5m 정도 취급요령 햇볕에 말려 쓴다.
생지 산의 반음지 성미 따뜻하며, 맵고 쓰다.
분류 여러해살이풀 독성여부 없다.
번식 분주ㆍ씨 1회사용량 뿌리 6~8g
약효 뿌리 사용범위 치유되는 대로 중단한다.
동속약초 두릅나무ㆍ땃두릅나무
어긋나고 홀수 2회 깃꼴겹잎으로서 길이 50~100cm이며 어릴 때에는 연한 갈색 털이 있다. 작은 잎은 길이 5~30cm, 나비 3~20cm의 달걀꼴 또는 타원형으로서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앞면은 녹색이고 뒷면은 흰빛이 돌며 양면에 털이 드문드문 나 있다. 잎자루의 밑 부분 양쪽에 작은 턱잎이 있다.
7~8월에 연한 녹색으로 피는데 줄기 끝과 가지 끝 또는 위쪽의 잎겨드랑이에서 큰 원추 꽃차례를 이루며 달린다. 양성화이다. 꽃부리는 작고 5개인 꽃잎은 거꿀달걀꼴이며 5개의 수술이 있다.
열매
9~10월에 장과가 달려 검게 익는다.
특징 및 사용
독요초ㆍ호경초(虎驚草)ㆍ멧두릅ㆍ땅두릅이라고도 한다. 땅두릅과 비슷한 발음 때문에 땃두릅이라 불리기도 하나 땃두릅나무와는 다른 종이다. 독활이란 바람에 움직이지 않는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꽃을 제외한 전체에 짧은 털이 드문드문 나 있다. 원줄기는 갈라지지 않으며 바늘 모양의 가시가 많다. 식용ㆍ약용으로 이용된다. 어린순은 식용하고 뿌리는 약재로 쓴다. 독활은 체내의 수분을 배설하는 효능이 강활보다 강하다. 그러나 강활에 비하여 해열ㆍ발한 작용이 약하고 완만하므로 강활과 합해서 쓰면 신경통 치료에 더욱 효과적이다. 약으로 쓸 때는 산제ㆍ탕제ㆍ환제로 하여 사용하며, 술을 담가서도 쓴다.
독활(獨活) / 독활 뿌리
라틴명 Angelicae Pubescentis Radix
약재의 효능 거풍제습(祛風除濕)  (풍사(風邪)과 습사(濕邪)가 체내에 머물러 있다가 통증이 옮겨 다니는 증상을 치료하는 방법임)
산한지통(散寒止痛)  (한사(寒邪)를 없애고 통증을 멈추는 효능임)
경신(輕身)  (몸을 가볍게 하는 효능임)
내로(耐老)  (늙는 것을 방지하는 효능임)
작용부위 방광(膀胱) , 신(腎)
성미 신고(辛苦) , 온(溫)
약전기재 중국약전
약재사용처방 가감배풍탕(加減排風湯) /  풍중장(風中臟)
가미대보탕(加味大補湯) /  탄탄(癱瘓)
가미창백산(加味蒼柏散) /  습각기(濕脚氣)
가미패독산(加味敗毒散)[1] /  각기(脚氣)
가미패독산(加味敗毒散)[2] /  온독발반(溫毒發斑)온역(瘟疫)
가미패독산(加味敗毒散)[3] /  두창발열(痘瘡發熱)
강활도체탕(羌活導滯湯) /  각기(脚氣)
강활승습탕(羌活勝濕湯) /  항강(項强)
강활유풍탕(羌活愈風湯) /  풍중부(風中腑)풍중장(風中臟)
거풍지보단(祛風至寶丹) /  풍중장(風中臟)혼모(昏冒)
교가산(交加散)[1] /  감모(感冒)상한(傷寒)
궁활탕(芎活湯) /  담음비통(痰飮臂痛)
기각환(枳殼丸)[2] /  귀배(龜背)
당귀강활탕(當歸羌活湯) /  오발옹저(五發癰疽)
당귀산(當歸散)[3] /  통풍(痛風)
대강활탕(大羌活湯)[1] /  역절풍(歷節風)
대강활탕(大羌活湯)[2] /  양감상한(兩感傷寒)
대고삼환(大苦蔘丸) /  면창(面瘡)염창(臁瘡)
대마풍환(大麻風丸) /  대마풍(大麻風)
대진교탕(大秦芄湯) /  중풍(中風)설강(舌强)탄탄(癱瘓)
독활(獨活)[1] /  항강(項强)중습(中濕)
독활(獨活)[2] /  근골연급(筋骨攣急)
독활(獨活)[3] /  하부풍(下部風)
독활기생탕(獨活寄生湯) /  각기(脚氣)
독활산(獨活散) /  아선(牙宣)치근동요(齒根動搖)
독활주(獨活酒) /  산후풍치(産後風痓)
독활탕(獨活湯)[1] /  허번불수(虛煩不睡)
독활탕(獨活湯)[2] /  노역요통(勞役腰痛)
마풍환(磨風丸) /  대풍창(大風瘡)
만금탕(萬金湯) /  허증(虛症)사지불수(四肢不遂)중풍(中風)
명목지황환(明目地黃丸) /  노인안혼(老人眼昏)예막차정(藝膜遮睛)
목향보명단(木香保命丹) /  중풍(中風)
방풍탕(防風湯)[2] /  행비(行痺)
방풍탕(防風湯)[3] /  파상풍(破傷風)
배풍탕(排風湯) /  풍중장(風中臟)
보양탕(補陽湯) /  예막(翳膜)
복원단(復元丹) /  수종(水腫)
분돈환(奔豚丸) /  신적(腎積)
사간탕(射干湯)[1] /  후아실성(喉{아}失聲)풍한졸아(風寒卒牙)
사백단(四白丹) /  중풍혼모(中風昏冒)
사생산(四生散) /  음낭습양(陰囊濕痒)음식창(陰蝕瘡)
삼비탕(三痺湯) /  기혈응체(氣血凝滯)풍비(風痺)
삼완산(三脘散) /  각기충심(脚氣衝心)
성산자(聖散子) /  역려(疫癘)습온(濕溫)풍온(風溫)
세하감창방(洗下疳瘡方) /  하감창(下疳瘡)
소감패독산(消疳敗毒散) /  하감창(下疳瘡)
소풍순기원(疏風順氣元) /  노인대변비결(老人大便秘結)
소풍해독산(疎風解毒散) /  편신생창(遍身生瘡)
소해산(消解散) /  후균(喉菌)후류(喉瘤)
속명자산(續命煮散) /  허증(虛症)중풍(中風)
송예단(松蘂丹) /  귀배(龜背)
승양보기탕(升陽補氣湯) /  식후혼곤(食後昏困)
승양보위탕(升陽補胃湯) /  장벽(腸澼)
승양산화탕(升陽散火湯) /  오심번열(五心煩熱)
승양익위산(升陽益胃散)[1] /  옹저(癰疽)
승양익위산(升陽益胃散)[2] /  내저(內疽)배옹(背癰)오발옹저(五發癰疽)
승양익위탕(升陽益胃湯) /  내상비위증(內傷脾胃證)
승양제습탕(升陽除濕湯)[1] /  붕루(崩漏)
승양조경탕(升陽調經湯) /  붕루(崩漏)
시호조경탕(柴胡調經湯) /  붕루(崩漏)
신달탕(腎疸湯) /  신달(腎疸)
여택통기탕(麗澤通氣湯) /  비색(鼻塞)
연교패독산(連翹敗毒散) /  옹저(癰疽)
연백익음환(連柏益陰丸) /  예막(翳膜)
연심산(蓮心散)[2] /  노채(勞瘵)
염통산(拈痛散) /  통풍(痛風)
영선제통음(靈仙除痛飮) /  역절풍(歷節風)
영양각탕(羚羊角湯)[1] /  근비(筋痺)
영양각탕(羚羊角湯)[2] /  자간(子癎)
영양각환(羚羊角丸) /  녹풍내장(綠風內障)
오령지산(五靈脂散) /  견비통(肩臂痛)
오향연교탕(五香連翹湯) /  옹저(癰疽)
이기거풍산(理氣祛風散) /  중풍구안와사(中風口眼喎斜)
이활산(二活散) /  정창(釘瘡)
인삼강활산(人蔘羌活散)[1] /  중풍열증(中風熱證)
인삼강활산(人蔘羌活散)[2] /  상한발열(傷寒發熱)
인삼강활산(人蔘羌活散)[3] /  상풍발열(傷風發熱)
인삼패독산(人蔘敗毒散) /  상한표증(傷寒表證)
자운풍환(紫雲風丸) /  자운풍(紫雲風)자전풍(紫癜風)
전생활혈탕(全生活血湯) /  붕루(崩漏)
주사지갑산(朱砂指甲散) /  파상풍(破傷風)
증손오적환(增損五積丸)[3] /  신적(腎積)오적(五積)
지룡산(地龍散) /  어혈요통(瘀血腰痛)
창름탕(倉廩湯) /  금구리(噤口痢)
천궁육계탕(川芎肉桂湯) /  어혈요통(瘀血腰痛)
천마환(天麻丸) /  중풍열증(中風熱證)
청기산(淸肌散) /  은진(癮疹)
청화탕(淸火湯) /  삼초열(三焦熱)
총이탕(聰耳湯) /  이중청(耳重聽)
충화보기탕(沖和補氣湯) /  마목(麻木)
침향천마탕(沈香天麻湯) /  경간(驚癎)
통성산가감법(通聖散加減法) /  안병(眼病)
평혈음(平血飮) /  편신생창(遍身生瘡)
해독탕(解毒湯)[2] /  옹저(癰疽)
형방패독산(荊防敗毒散)[1] /  상한태양병(傷寒太陽病)
형방패독산(荊防敗毒散)[2] /  대두온(大頭瘟)
활락탕(活絡湯) /  견비통(肩臂痛)
황련소독산(黃連消毒散) /  발배(發背)발뇌(發腦)마목(麻木)
회수산(回首散) /  항강(項强)
회창섬수정자(廻瘡蟾酥錠子) /  정창(釘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