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부자(地膚子) / 댑싸리

 익생양술에서 "댑싸리"로 처방에 사용됨
 동의보감에서 "지부자(地膚子) / 댑싸리"로 처방에 사용되었음.
분포 전국 각지 채취기간 9~10월(잎), 11월(씨)
1~1.5m 취급요령 햇볕에 말려 쓰거나(잎), 증기에 찐 다음 햇볕에 말려 쓴다(씨).
생지 인가 부근 식재 성미 차며, 달고 쓰다.
분류 한해살이풀 독성여부 없다.
번식 1회사용량 잎 5~10g, 씨 4~8g
약효 잎ㆍ씨 사용범위 해롭지는 않으나 치유되는 대로 중단한다.
어긋나고 길이 2~5cm, 나비 2~8mm의 댓잎피침형 또는 선 모양의 댓잎피침형이며 3개의 맥이 있다. 양끝이 좁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7~8월에 엷은 녹색 또는 황록색의 작은 꽃이 피는데 잎겨드랑이에서 몇 개씩 모여 달리며 꽃자루는 없다. 꽃 밑에 잎 같은 꽃턱잎이 있으며, 위쪽의 잎은 흔히 꽃턱잎처럼 작아지므로 전체가 수상 꽃차례로 된다. 양성화와 암꽃이 함께 핀다. 꽃받침은 5개로 갈라지고, 꽃이 핀 다음에 자라서 열매를 둘러싸는데 뒤쪽의 것은 날개처럼 된다. 5개인 수술은 길게 꽃 밖으로 나오며, 꽃밥은 노란색이다.
열매
9~10월에 동글납작한 포과가 달려 익는데 끝에 암술대가 달린다. 속에 씨가 1개 들어 있다.
특징 및 사용
비싸리ㆍ공쟁이ㆍ지부(地膚)라고도 한다. 원줄기는 곧게 서고 단단하며 가지가 많이 갈라지고 위쪽에 털이 있다. 유사종으로 줄기가 꾸불꾸불하게 자라는 것을 갯댑싸리라 한다. 관상용ㆍ댑싸리비 재료ㆍ식용ㆍ약용으로 이용된다. 어린줄기나 잎은 지부묘(地膚苗)라고 하며 나물로 먹거나 약용한다. 씨는 지부자라 하여 약재로 쓰는데 11월경에 채취하여 증기에 찐 다음 말려서 쓴다. 약으로 쓸 때는 탕으로 하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사용한다.
지부자(地膚子) / 댑싸리 과실
라틴명 Kochiae Fructus
약재의 효능 청열(淸熱)  (열기를 성질이 차거나 서늘한 약으로 식히는 효능임)
제습(除濕)  (습기(濕氣)를 제거하는 효능임)
거풍(祛風)  (안과 밖, 경락(經絡)및 장부(臟腑) 사이에 머물러 있는 풍사(風邪)를 제거하는 것임)
지양(止痒)  (양증(痒症)을 치료하는 효능임)
보중(補中)  (비위(脾胃)를 보(補)하는 효능임.)
익정(益精)  (정기(精氣)를 보익(補益)하는 효능임)
장력(壯力)  (힘을 튼튼히 하는 효능임)
이뇨(利尿)  (소변이 잘 나오게 하는 효능임)
통림(通淋)  (하초(下焦)의 습열(濕熱)을 없애고 결석(結石)을 제거하며, 소변 볼 때 깔깔하면서 아프거나 방울방울 떨어지면서 시원하게 나가지 않는 병증을 제거하는 방법임)
영인윤택(令人潤澤)
이목총명(耳目聰明)  (듣는 기능과 보는 기능이 양호한 상태를 가리킴.)
경신내로(輕身耐老)
작용부위 방광(膀胱) , 신(腎)
성미 신고(辛苦) , 한(寒)
약전기재 중국약전 , 한국생약규격집
주의사항 성숙한 열매
약재사용처방 만청자환(蔓靑子丸) /  안목혼암(眼目昏暗)
밀몽화산(密蒙花散)[1] /  내장(內障)
본사방양간원(本事方羊肝元) /  내장(內障)청맹(靑盲)
사물오자원(四物五子元) /  안목혼암(眼目昏暗)
삼화오자환(三花五子丸) /  예장(翳障)안화(眼花)
숙지황환(熟地黃丸) /  안화(眼花)
양담원(凉膽元) /  흑화예(黑花翳)
지부자(地膚子)[1] /  방광실열(膀胱實熱)
지부자(地膚子)[2] /  음퇴(陰㿗)
지부자탕(地膚子湯)[1] /  소변불통(小便不通)
지부자탕(地膚子湯)[2] /  자림(子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