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오(草烏) / 놋젓가락나물

 익생양술에서 "놋젓가락나물"로 처방에 사용됨
 동의보감에서 "초오(草烏) / 놋젓가락나물"로 처방에 사용되었음.
분포 전국 각지 채취기간 가을
2m 정도 취급요령 햇볕이나 불에 말려 쓴다.
생지 산지의 숲속 성미 평온하며, 맵다.
분류 여러해살이풀 독성여부 있다.
번식 분근ㆍ씨 1회사용량 1~1.5g
약효 덩이뿌리ㆍ꽃 사용범위 치유되는 대로 중단한다.
동속약초 노랑돌쩌귀ㆍ투구꽃ㆍ이삭바꽃의 덩이뿌리
어긋나며 긴 잎자루 끝에서 3~5개로 깊게 완전히 갈라진다. 갈라진 조각은 마름모꼴이고, 다시 갈라진 맨 나중 조각은 댓잎피침형으로서 끝이 뾰족하다.
8~9월에 자주색 또는 청자색으로 투구 모양의 꽃이 피는데 총상 꽃차례로 줄기 끝에 작은 꽃이 달린다. 꽃의 수는 많지 않고 한쪽으로 몰린다. 꽃자루는 다소 짧으며 잔털이 있다. 5개인 꽃받침 조각은 꽃잎처럼 생겼는데 뒤쪽에 있는 꽃받침 조각은 고깔처럼 생겼고 옆에 달린 조각은 거꾸로 선 달걀 모양의 원형, 밑의 조각은 긴 타원형이다. 수술은 여러 개인데 수술대는 밑 부분이 날개 모양으로 넓게 벌어져 있다. 씨방은 5개이며 털이 없고, 암술대는 뾰족하며 뒤로 젖혀진다.
열매
10월에 골돌과가 달려 익는데 5개이며 끝이 뾰족하다.
특징 및 사용
선덩굴바꽃ㆍ선줄바꽃ㆍ초오라고도 한다. 덩굴로 다른 물체를 감고 올라가면서 줄기를 뻗는다. 관상용ㆍ약용으로 이용된다. 감초와 흑두(黑豆)로 제한해서 사용한다. 생약인 초오는 뿌리를 말린 것이다. 약으로 쓸 때는 탕으로 하여 사용한다. 외상에는 짓이겨 붙인다. 독성이 있으므로 기준량을 지킨다.
익생양술 효능
주로 운동계와 순환계 질병을 다스린다.
초오(草烏) / 놋젓가락나물 뿌리
라틴명 Aconiti Ciliare Tuber
약재의 효능 회양(回陽)  (양기(陽氣)를 다시 회복시키는 효능임)
퇴음(退陰)  (음기가 지나치게 항성한 것을 제어하는 효능임)
온경(溫經)  (경맥(經脈)을 따뜻하게 해주는 것.)
보허(補虛)  (허한 것을 보하는 효능임)
제습(除濕)  (습기(濕氣)를 제거하는 효능임)
산옹(散壅)  (막힌 것을 푸는 효능임)
온명문(溫命門)  (명문(命門)의 상화(相火)의 기운을 보태주는 효능임)
난비위(暖脾胃)  (비위(脾胃)를 따뜻하게 하는 효능임)
개관문(開關門)  (관문(關門)을 열어주는 효능임)
축소변(縮小便)  (소변이 너무 잦을때 하초의 기운을 공고히 하여 이를 다스리는 효능임)
견기부(堅肌膚)  (기부(肌膚)를 견고하게 하는 효능임)
섭납부양(攝納浮陽)  (양기(陽氣)가 뜨는 것을 끌어당기는 효능임)
축풍한습(逐風寒濕)  (풍한습의 사기를 제거하는 효능임)
회양퇴음(回陽退陰)  (양기(陽氣)를 다시 회복시켜 음기(陰氣)를 몰아내는 효능임)
작용부위 비(脾)
성미 대독(大毒) , 신고(辛苦) , 열(熱)
약전기재 한국생약규격집
주의사항 불가경복(不可輕服).
독성 The herb and its alkaloids are very toxic. LD50 for mice is 0.3 mg aconitine per Kg (s.c.) or 17.42g of prepared aconite root/Kg (oral) or 3.5 g/Kg (I.v.).
Toxic symptomss include brdycardia and irregular rhythm. The specific adverse effect depends on how the aconite preparation is prepared and how long it is decocted. Patients usually lose sensation in the mouth and tongue after drinking the Fu Zi decoction. Nausea and vomiting may occur, as well as spasm of extremities and cardiac arrhythmias.
The intestinal absorption of the alkaloids is relatively fast. Because of this, gastric lavage is recommanded in case of overdose 1).
1) Huang, K.C., The pharmacology of Chinese herbs II, CRC press, 1999.
약재사용처방 가미용호산(加味龍虎散) /  풍습요통(風濕腰痛)한습요통(寒濕腰痛)
격피취농법(隔皮取膿法) /  옹저(癰疽)
과반산(瓜礬散) /  비치(鼻痔)
금로원(金露元) /  적취(積聚)
급풍산(急風散) /  제창(諸瘡)파상풍(破傷風)
남성고(南星膏)[2] /  영류(瘿瘤)
대고삼환(大苦蔘丸) /  면창(面瘡)염창(臁瘡)
방풍천마산(防風天麻散) /  역절풍(歷節風)
사호산(四虎散) /  옹저(癰疽)
선응고(善應膏)[1] /  악창(惡瘡)
선응고(善應膏)[2] /  악창(惡瘡)
소아초생구급방(小兒初生救急方)[16] /  초생비색(初生鼻塞)
심통원(尋痛元) /  제상(諸傷)
쌍오산(雙烏散) /  상손동통(傷損疼痛)
오령지산(五靈脂散) /  견비통(肩臂痛)
오룡환(烏龍丸) /  음낭습양(陰囊濕痒)
오사산(烏蛇散) /  파상풍(破傷風)
옥분환(玉粉丸)[1] /  한담(寒痰)실음(失音)
용호단(龍虎丹) /  반신마목(半身麻木)통풍(痛風)
위약(圍藥) /  옹저(癰疽)
유향흑호단(乳香黑虎丹) /  역절풍(歷節風)
응통원(應痛元) /  견비통(肩臂痛)
이오환(二烏丸) /  파상풍(破傷風)
일자경금산(一字輕金散) /  정두통(正頭痛)
일자산(一字散)[2] /  파상풍(破傷風)
정향산(丁香散) /  대소변불통(大小便不通)
제분산(提盆散) /  대변비결(大便秘結)
질려산(蒺藜散) /  음낭습양(陰囊濕痒)
착호단(捉虎丹)[1] /  각기(脚氣)
착호단(捉虎丹)[2] /  백호역절풍(白虎歷節風)한습각기(寒濕脚氣)
천선고(天仙膏) /  구안와사(口眼喎斜)졸중풍(卒中風)
초오산(草烏散) /  골절(骨折)
추풍산(追風散)[1] /  편두풍(偏頭風)정두풍(正頭風)
치결핵일방(治結核一方)[4] /  결핵(結核)
치약고자(痔藥膏子) /  번화치(飜花痔)
치흘탑일방(治疙瘩一方)[2] /  담핵흘답(痰核疙瘩)
칠생환(七生丸) /  두풍(頭風)
호분산(胡粉散) /  개선(疥癬)
화독단(化毒丹) /  독종(毒腫)악창(惡瘡)
환기산(換肌散) /  대풍창(大風瘡)
활락단(活絡丹) /  통풍(痛風)근맥구련(筋脈拘攣)
회창정자(廻瘡錠子) /  정저(疔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