귤홍(橘紅) / 귤나무

 익생양술에서 "귤나무"로 처방에 사용됨
 동의보감에서 "귤홍(橘紅) / 귤나무"로 처방에 사용되었음.
분포 제주도 채취기간 5~11월
3~5m 취급요령 햇볕에 말려 쓴다.
생지 과수로 재배 성미 따뜻하며, 쓰고 시다.
분류 상록 활엽 소교목 독성여부 없다.
번식 접목ㆍ씨 1회사용량 열매껍질 8~12g
약효 열매껍질 사용범위 해롭지는 않으나 치유되는 대로 중단한다.
어긋나며 길이 5~7cm의 타원형이고 가죽질인데 가장자리가 밋밋하거나 물결 모양의 톱니가 있으며 끝이 뾰족하다. 잎자루의 날개는 뚜렷하지 않으며 잎겨드랑이에는 가시가 있다.
6월에 흰색으로 달려 피는데 향기가 짙다. 꽃받침조각과 꽃잎은 각각 5개씩이다. 수술은 많고 암술은 1개이다.
열매
10월에 지름 5~8cm 정도 되는 동글납작한 편구형(偏球形)의 장과가 등황색 또는 황적색으로 달려 익는다. 이 열매를 귤이라고 한다.
특징 및 사용
참귤나무ㆍ감자(柑子)ㆍ감귤ㆍ온주밀감이라고도 한다. 가지는 퍼지고 가시가 없다. 귤나무라고 하면 운향과 감귤속에 속하는 상록 활엽 소교목의 총칭으로서 넓은 뜻으로는 감귤류 전체를 말하기도 하지만, 일반적으로 귤나무라고 하면 현재 제주도에서 주로 재배하고 있는 온주귤(온주밀감)을 말한다. 보통 온주귤을 밀감이라고도 하지만, 원래 학명이 Citrus nobilis인 밀감이 따로 있다. 이 밀감은 높이 3m 정도의 관목이며 잎의 생김새가 달걀꼴이다. 귤나무의 덜 익은 열매의 껍질을 청피(靑皮)라 하고, 익은 열매의 껍질을 진피(陳皮)라 하는데 진피를 쌀뜨물에 담갔다가 말려 쓴다. 방향성이 있다. 관상용ㆍ식용ㆍ약용으로 이용된다. 열매를 식용하는데 주로 생식한다. 한국의 귤 맛은 세계 제1급이다. 어떤 약에든지 넣으면 약효가 배가된다. 약으로 쓸 때는 주로 탕으로 하여 사용한다. 신체가 허약하거나 다한증이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귤홍(橘紅) / 귤 껍질
라틴명 Citri Rubrum Exocarpium
약재의 효능 이기(理氣)  (행기해울(行氣解鬱), 강기조중(降氣調中), 보중익기(補中益氣)하여 기체(氣滯), 기허(氣虛), 기역(氣逆)등을 치료하는 것을 가리키는 용어임.)
화담(化痰)  (담(痰)을 삭이는 방법을 말함)
선폐(宣肺)  (폐기를 통하게 하는 치료법을 말함.)
지해(止咳)  (기침을 그치게 하는 효능임)
관중(寬中)  (속을 편안하게 하는 효능임)
산결(散結)  (맺힌 것을 푸는 효능임)
화적(化積)  (적취(積聚)를 삭히는 효능임)
조습(燥濕)  (고조(苦燥)한 약물로 습사(濕邪)를 제거하는 방법으로 중초습증(中焦濕證)에 적용.)
작용부위 비(脾) , 폐(肺)
성미 신고(辛苦) , 온(溫)
약전기재 중국약전
주의사항 귤피 안쪽의 흰 부분을 긁어낸 껍질. 많이 복용하면 안됨.
약재사용처방 가감이진탕(加減二陳湯) /  울담(鬱痰)
가미불환금정기산(加味不換金正氣散) /  옹저(癰疽)
가미온담탕(加味溫膽湯)[1] /  경계(驚悸)
가미윤하환(加味潤下丸) /  열담(熱痰)
가제제습탕(加劑除濕湯) /  한습(寒濕)
강활창출탕(羌活蒼朮湯) /  장학(瘴瘧)열학(熱瘧)한학(寒瘧)
거풍도담탕(祛風導痰湯) /  중풍(中風)담연옹성(痰涎壅盛)
건위보화원(健胃保和元) /  식상(食傷)
견음기실환(蠲飮枳實丸) /  담음(痰飮)
경기원(驚氣元) /  전간(癲癎)
곽향안위산(藿香安胃散) /  비위허약(脾胃虛弱)구토(嘔吐)
구사탕(驅邪湯)[2] /  자학(子瘧)
귤귀환(橘歸丸) /  노기상간(怒氣傷肝)
귤소산(橘蘇散) /  한수(寒嗽)신열유한(身熱有汗)
귤피(橘皮)[6] /  해수(咳嗽)기역(氣逆)
도담탕(導痰湯) /  풍담(風痰)
두구귤홍산(豆蔲橘紅散) /  식상(食傷)
마적원(磨積元)[2] /  다적(茶積)
반하복령탕(半夏茯苓湯)[2] /  오조(惡阻)
백배환(百杯丸) /  징벽(癥癖)상주(傷酒)
백부자환(白附子丸) /  담훈(痰暈)
백원자(白圓子) /  담수(痰嗽)
백출탕(白朮湯)[2] /  습수(濕嗽)
보생탕(保生湯) /  오조(惡阻)
복령반하탕(茯苓半夏湯)[3] /  식비(食痺)
삼습탕(渗濕湯)[1] /  한습(寒濕)
삼신환(三神丸)[1] /  월경부조(月經不調)
삼향산(參香散) /  허로이수(虛勞羸瘦)노채(勞瘵)
서련환(瑞蓮丸)[1] /  비위허약(脾胃虛弱)
성향산(星香散) /  만경풍(慢驚風)급경풍(急驚風)
소식산(消食散) /  식적(食積)
소핵환(消核丸) /  경항결핵(頸項結核)
순기도담탕(順氣導痰湯)[2] /  중풍불어(中風不語)
신법반하탕(新法半夏湯) /  한담(寒痰)
신비탕(神秘湯) /  수천(水喘)
신성복기탕(神聖復氣湯) /  신심통(腎心痛)
안위산(安胃散) /  불사식(不思食)내상비위증(內傷脾胃證)
영신도담탕(寧神導痰湯) /  중풍혼도(中風昏倒)
오미자탕(五味子湯)[3] /  한천(寒喘)
오인환(五仁丸) /  대변비결(大便秘結)
옥분환(玉粉丸)[2] /  기담(氣痰)
이어탕(鯉魚湯) /  자종(子腫)
이현산(二賢散) /  기담(氣痰)
인삼윤폐산(人蔘潤肺散) /  풍한천(風寒喘)
인삼전호탕(人蔘前胡湯) /  담훈(痰暈)
인삼평보탕(人蔘平補湯) /  신허(腎虛)
인진부자건강탕(茵蔯附子乾薑湯) /  음황(陰黃)
자장오인환(滋腸五仁丸) /  산후대변비결(産後大便秘結)
절제화담환(節齊化痰丸) /  노담(老痰)울담(鬱痰)
정전가미이진탕(正傳加味二陳湯) /  식담(食痰)
청금음(淸金飮) /  해수(咳嗽)
청열도담탕(淸熱導痰湯)[2] /  중풍(中風)
청총화담환(淸聰化痰丸) /  간화이롱(肝火耳聾)
칠향원(七香元) /  식체(食滯)
통치성음약일방(通治聲音藥一方) /  성아(聲啞)건해(乾咳)건수(乾嗽)
형소탕(荊蘇湯) /  풍한졸아(風寒卒牙)
활혈구풍산(活血驅風散)[1] /  음낭습양(陰囊濕痒)
활혈구풍산(活血驅風散)[2] /  신장풍창(腎臟風瘡)
회생양위단(回生養胃丹) /  반위(反胃)
후장환(厚腸丸) /  유식적체(乳食積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