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틴명 |
Lycii Fructus |
약재의 효능 |
자보간신(滋補肝腎)
(간신(肝腎)을 기르고 보익(補益)하는 효능임)
|
|
윤폐(潤肺)
(폐(肺)를 적셔주는 효능임)
|
|
익정(益精)
(정기(精氣)를 보익(補益)하는 효능임)
|
|
명목(明目)
(눈을 밝게 하는 효능임)
|
|
보수(補髓)
(골수를 보하는 효능임)
|
|
자음보혈(滋陰補血)
(음기(陰氣)를 기르고 혈(血)을 보익(補益)하는 효능임)
|
|
경신(輕身)
(몸을 가볍게 하는 효능임)
|
|
연년(延年)
|
작용부위 |
간(肝)
, 신(腎)
|
성미 |
감(甘)
, 평(平)
|
약전기재 |
대한약전
, 원색화한약도감
|
독성 |
Adverse effects may include nausea and vomiting. The LD50 in mice is 12.83 +/- 1.9 g/kg (I.p.); in dogs, the LD50 is 120 g/kg (by stomach) or 30 g/kg (I.p.).1). 1) Huang, K.C., The pharmacology of Chinese herbs II, CRC press, 1999. |
약재사용처방 |
가감보음환(加減補陰丸) /
음허(陰虛)
|
|
가감주경원(加減駐景元) /
내장(內障)
|
|
가감하수오산(加減何首烏散) /
개선(疥癬)
, 자백전풍(紫白癜風)
, 역양풍(癧瘍風)
|
|
가미고삼환(加味苦蔘丸) /
대풍창(大風瘡)
|
|
가미보음환(加味補陰丸) /
음허(陰虛)
|
|
가미호잠환(加味虎潛丸) /
음양구허(陰陽俱虛)
|
|
강활유풍탕(羌活愈風湯) /
풍중부(風中腑)
, 풍중장(風中臟)
|
|
결명원(決明元)[1] /
예막차정(藝膜遮睛)
|
|
고본건양단(固本健陽丹) /
신허불임(腎虛不姙)
|
|
고본환정환(固本還睛丸) /
난현풍(爛弦風)
, 예막차정(藝膜遮睛)
|
|
고암심신환(古庵心腎丸) /
경계(驚悸)
, 정충(怔忡)
, 심허(心虛)
|
|
곡령환(谷靈丸) /
부인수척(婦人瘦瘠)
|
|
구룡단(九龍丹) /
정활(精滑)
|
|
국정원(菊睛元) /
예막(翳膜)
, 안화(眼花)
|
|
귀원산(歸元散)[1] /
몽설(夢泄)
, 중기하함(中氣下陷)
|
|
기령환(杞苓丸) /
안목혼암(眼目昏暗)
, 신허내장(腎虛內障)
|
|
당귀고(當歸膏) /
칠상(七傷)
, 오로(五勞)
, 허손(虛損)
|
|
대오보환(大五補丸) /
심허(心虛)
|
|
두충환(杜仲丸) /
신허요통(腎虛腰痛)
|
|
만청자환(蔓靑子丸) /
안목혼암(眼目昏暗)
|
|
명목장수환(明目壯水丸) /
안화(眼花)
, 간신구허내장(肝腎俱虛內障)
|
|
명목지황환(明目地黃丸) /
예막차정(藝膜遮睛)
, 노인안혼(老人眼昏)
|
|
밀몽화산(密蒙花散)[1] /
내장(內障)
|
|
발운퇴예환정환(撥雲退瞖還睛丸) /
내장(內障)
, 예막(翳膜)
|
|
보명생지황산(保命生地黃散) /
변혈(便血)
, 육혈(衄血)
, 요혈(尿血)
, 토혈(吐血)
|
|
보신원(補腎元) /
원예(圓翳)
|
|
보신환(補腎丸)[2] /
안목혼암(眼目昏暗)
, 내장(內障)
|
|
보음환(補陰丸)[1] /
음허화동(陰虛火動)
|
|
보음환(補陰丸)[2] /
몽설(夢泄)
, 도한(盜汗)
, 조열(潮熱)
, 객혈(喀血)
, 음허화동(陰虛火動)
|
|
보천대조환(補天大造丸) /
허로(虛勞)
, 방로상(房勞傷)
|
|
본사방양간원(本事方羊肝元) /
청맹(靑盲)
, 내장(內障)
|
|
사물오자원(四物五子元) /
안목혼암(眼目昏暗)
|
|
산정환(山精丸) /
습담(濕痰)
|
|
삼일신기환(三一腎氣丸) /
신허(腎虛)
|
|
삼출건비환(蔘朮健脾丸) /
구설(久泄)
|
|
삼화오자환(三花五子丸) /
예장(翳障)
, 안화(眼花)
|
|
상단(上丹) /
음위(陰痿)
|
|
서각산(犀角散) /
추정안(墜睛眼)
|
|
서련환(瑞蓮丸)[2] /
허로(虛勞)
|
|
속사단(續嗣丹) /
무사(無嗣)
|
|
신귀자음환(神龜滋陰丸) /
각슬위약(脚膝痿弱)
|
|
신선거승자원(神仙巨勝子元) /
허로(虛勞)
|
|
신선기제단(神仙旣濟丹) /
칠상(七傷)
, 오로(五勞)
|
|
야광육신환(夜光育神丸) /
노인안혼(老人眼昏)
|
|
양혈장근건보환(養血壯筋健步丸) /
양각위연(兩脚痿軟)
|
|
연령고본단(延齡固本丹) /
중년양사불거(中年陽事不擧)
, 수발조백(鬚髮早白)
|
|
오자연종환(五子衍宗丸) /
무사(無嗣)
|
|
올눌보천환(膃肭補天丸)[1] /
음위(陰痿)
, 허손(虛損)
|
|
올눌보천환(膃肭補天丸)[2] /
허로(虛勞)
|
|
우슬모과탕(牛膝木瓜湯) /
소복통(小腹痛)
, 이롱(耳聾)
, 목적(目赤)
, 흉협고만(胸脇苦滿)
|
|
이신교제단(二神交濟丹) /
허로(虛勞)
|
|
이지환(二至丸) /
음양구허(陰陽俱虛)
|
|
익수고진단(益壽固眞丹) /
허로(虛勞)
|
|
인숙산(仁熟散) /
담허(膽虛)
|
|
자음강화환(滋陰降火丸) /
음허화동(陰虛火動)
|
|
자음대보환(滋陰大補丸) /
음양구허(陰陽俱虛)
|
|
자음청화고(滋陰淸化膏) /
화수(火嗽)
|
|
정심원(定心元) /
노육반정(努肉攀睛)
|
|
제음환(濟陰丸) /
음허노손(陰虛勞損)
|
|
천금연수단(千金延壽丹) /
허로(虛勞)
|
|
취선산(醉仙散) /
대풍창(大風瘡)
|
|
하간생지황산(河間生地黃散) /
객혈(喀血)
, 타혈(唾血)
, 육혈(衄血)
, 토혈(吐血)
|
|
현토고본환(玄菟固本丸)[2] /
신허(腎虛)
|
|
환소단(還少丹) /
음위(陰痿)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