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삼(苦蔘) / 고삼

 익생양술에서 "고삼"로 처방에 사용됨
 동의보감에서 "고삼(苦蔘) / 고삼"로 처방에 사용되었음.
분포 전국 각지 채취기간 겨울~이듬해 봄
80~100cm 취급요령 햇볕에 말려 쓴다.
생지 산과 들의 햇볕이 잘 드는 풀밭 성미 차며, 매우 쓰다.
분류 여러해살이풀 독성여부 없다.
번식 1회사용량 뿌리 1~3g
약효 뿌리ㆍ씨 사용범위 장복해도 좋으나 허약한 사람은 신중히 쓴다.
동속약초 회화나무
어긋나고 길이 15~25cm인 홀수 깃꼴겹잎이며 잎자루가 길다. 작은 잎은 15~41개이며 길이 2~4cm, 나비 7~15mm로서 긴 타원형 또는 긴 달걀꼴, 넓은 댓잎피침형이다. 양면에 털이 있고 가장자리는 밋밋하다.
6~8월에 연한 노란색으로 피는데 길이 20cm 정도의 꽃줄기가 나와 나비 모양의 꽃이 총상 꽃차례로 줄기 위와 가지 끝에 많이 달린다. 길이 7~8mm인 꽃받침은 통 같고 겉에 잔털이 있으며 끝이 5갈래로 얕게 갈라진다. 꽃잎은 길이 15~18mm로 기판의 끝부분이 곧게 선다. 수술은 10개이고 수술대는 분리되어 있다.
열매
8~9월에 협과인 꼬투리가 달려 익는데 짧은 대가 있고 염주 모양이며 가늘고 끝이 뾰족하다. 그 속에 검은 씨가 들어 있다.
특징 및 사용
넓은잎너삼ㆍ쓴너삼ㆍ너삼ㆍ지삼ㆍ산두근ㆍ도둑놈의지팡이ㆍ뱀의정자나무라고도 한다. 고삼이라는 이름은 맛이 몹시 쓰기 때문에 붙여졌고, 도둑놈의지팡이는 뿌리의 모양이 흉측하게 구부러져 있어 붙여진 이름이다. 줄기는 곧게 서는데 색깔은 녹색이지만 어릴 때는 검은빛이 돌고 노란색의 잔털이 있다. 뿌리는 굵고 황색인데 주로 약용으로 이용된다. 약으로 쓸 때는 탕으로는 사용하지 않으며 환제나 산제로 하여 사용한다. 신경허약자, 임산부, 신장ㆍ위장ㆍ비장이 약한 사람, 습관성 유산을 경험한 사람은 신중히 사용한다. 금기사항으로서 갈퀴꼭두서니ㆍ인삼과는 같이 쓰지 않는다. 또한 예로부터 민간에서는 줄기나 잎을 달여 살충제로 쓰기도 하였으며, 변소에 넣어 두면 구더기가 생기지 않는다고 하여 많이 이용하였다. 복용중에 꼭두서니ㆍ여로ㆍ인삼을 금한다. 임산부 또는 간장이나 비장ㆍ신장이 약한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익생양술 효능
주로 소화기ㆍ피부과ㆍ안과ㆍ신경계 질환을 다스린다.
고삼(苦蔘) / 고삼
라틴명 Sophorae Flavescentis Radix
약재의 효능 보중(補中)  (비위(脾胃)를 보(補)하는 효능임.)
익기(益氣)
평위(平胃)  (위장(胃臟)의 기운을 정상으로 회복시켜주는 효능임)
양간(養肝)  (간(肝)의 음액(陰液)을 보태어주는 효능임)
정지(定志)  (마음을 안정시키는 효능임)
명목(明目)  (눈을 밝게 하는 효능임)
지루(止淚)  (눈물을 그치게 하는 효능임)
거풍(祛風)  (안과 밖, 경락(經絡)및 장부(臟腑) 사이에 머물러 있는 풍사(風邪)를 제거하는 것임)
축수(逐水)  (몸속의 수기를 빼내는 효능임)
해갈(解渴)  (갈증(渴症)을 풀어주는 효능임)
성주(醒酒)  (술을 깨는 효능임)
안오장(安五臟)  (오장(五臟)을 편안하게 하는 효능임.)
이구규(利九竅)  (구규(九竅)가 막힌 것을 뚫는 효능임)
살악충감충(殺惡蟲疳蟲)  (몸 속의 나쁜 기생충과 감병(疳病)을 일으키는 기생충을 죽이는 것임.)
해주독(解酒毒)  (술을 과하게 마셔 그 후유증으로 생긴 독(毒)을 풀어주는 효능임)
복홍(伏汞)  (수은의 독을 억제하는 효능임)
제웅황(制雄黃)  (웅황(雄黃)의 독을 제거하는 효능임)
경신(輕身)  (몸을 가볍게 하는 효능임)
작용부위 간(肝) , 대장(大腸) , 방광(膀胱) , 위(胃)
성미 고(苦) , 한(寒)
약전기재 대한약전 , 일본약국방 , 중국약전
주의사항 주피를 거의 벗긴 뿌리. 여로(藜蘆)와 같이 쓰지 말 것.
독성 In mice, a decoction of Sophorae Radix had an LD50 of 43 +/- 2.2 g/Kg; for the crude alkaloid extract, it was 1.18 +/- 0.1 g/Kg; and for the crystalline alkaloids it was 297 +/- 18 mg/Kg (s.c.). The LD50 of matrine was reported to be 72.1 mg/Kg in mice(I.v.).
Primary adverse effects are gastrointestinal disturbances, including gastric pain, nausea, vomiting, and constipation.1). Mild; active, but toxicity appears very mild unless used for long time 2,3).
1) Huang, K.C., The pharmacology of Chinese herbs II, CRC press, 1999.
2) H.K. Do, Shin Rhong Bon Cho Kyung, 452.
3) H.T. Rhu, Hyang Yak Jip Sung Bang, 1431.
약재사용처방 가감통성환(加減通聖丸) /  양매창(楊梅瘡)
가감하수오산(加減何首烏散) /  개선(疥癬)자백전풍(紫白癜風)역양풍(癧瘍風)
가미고삼환(加味苦蔘丸) /  대풍창(大風瘡)
건보환(健步丸) /  각슬위약(脚膝痿弱)
고삼(苦蔘)[2] /  악충(惡蟲)
고삼(苦蔘)[3] /  아주공(牙蛀孔)
고삼(苦蔘)[4] /  세진양통(細疹痒痛)
고삼(苦蔘)[5] /  열결흉(熱結胸)
고삼(苦蔘)[6] /  온역(瘟疫)
고삼산(苦蔘散) /  역려발황(疫癘發黃)
곡달환(穀疸丸) /  곡달(穀疸)
당귀염통탕(當歸拈痛湯) /  각기(脚氣)
대고삼환(大苦蔘丸) /  염창(臁瘡)면창(面瘡)
대마풍환(大麻風丸) /  대마풍(大麻風)
대온중환(大溫中丸) /  곡달(穀疸)황종(黃腫)황반(黃胖)
두삼산(豆蔘散) /  담(痰)
비전일찰광(秘傳一擦光) /  악창(惡瘡)개선(疥癬)
삼귀환(蔘歸丸) /  주사비(酒齄鼻)
삼황패독산(三黃敗毒散) /  천포창(天疱瘡)양매창(楊梅瘡)
세누창방(洗漏瘡方)[2] /  누창(瘻瘡)
세약(洗藥) /  대풍창(大風瘡)
양혈해독환(凉血解毒丸) /  하감창(下疳瘡)
오사고삼원(烏蛇苦蔘元) /  대풍창(大風瘡)
웅황예산(雄黃銳散) /  호혹(狐惑)
위생천화원(衛生天花元) /  소갈(消渴)신소(腎消)
유풍단(愈風丹) /  나질(癩疾)
익담탕(益膽湯) /  구고(口苦)
자운풍환(紫雲風丸) /  자운풍(紫雲風)자전풍(紫癜風)
자하거환(紫河車丸) /  전시(傳尸)노채(勞瘵)
정통산(定痛散)[1] /  아주공(牙蛀孔)
청폐산(淸肺散)[2] /  목적종통(目赤腫痛)
청폐음자(淸肺飮子) /  비사(鼻齄)
추풍환(追風丸) /  백전풍(白癜風)
취누농법(取漏膿法) /  치루(痔瘻)
취선산(醉仙散) /  대풍창(大風瘡)
치대풍창세약(治大風瘡洗藥) /  대풍창(大風瘡)
치양매창세약방(治楊梅瘡洗藥方)[1] /  양매창(楊梅瘡)
치양매창세약방(治楊梅瘡洗藥方)[2] /  양매창(楊梅瘡)
탕세방(湯洗方) /  옹저(癰疽)
패모고(貝母膏) /  악창(惡瘡)
폐풍환(肺風丸) /  비사(鼻齄)
해채소독일방(解菜蔬毒一方)[2] /  채소독(菜蔬毒)
호마산(胡麻散) /  자백전풍(紫白癜風)은진(癮疹)창개(瘡疥)
환골단(換骨丹) /  중풍(中風)탄탄(癱瘓)
환골환(換骨丸) /  나풍(癩風)
환기산(換肌散) /  대풍창(大風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