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틴명 |
Cinnamomi Cortex |
약재의 효능 |
온중(溫中)
(중초(中焦)를 따뜻하게 하는 효능임)
|
|
보양(補陽)
(보법(補法)의 하나로, 양허증(陽虛證)을 치료하는 방법임.)
|
|
평간(平肝)
(간기(肝氣)가 몰리거나 치밀어 오르거나 간양(肝陽)이 왕성(旺盛)할 때 간기를 화평(和平)하게 해주는 방법임)
|
|
익폐(益肺)
(폐(肺)를 보익(補益)하는 효능임)
|
|
소음(消陰)
(음(陰)의 기운이 과도하게 성(盛)한 경우 음(陰)의 세력을 감소시키는 효능임.)
|
|
납기(納氣)
(신(腎)에서 폐(肺)에서 흡수한 기운을 받아들이는 효능임)
|
|
평천(平喘)
(천(喘)을 치료하는 방법임.)
|
|
산한(散寒)
(한사(寒邪)를 없애는 효능임)
|
|
지통(止痛)
(통증(痛症)을 그치게 하는 효능임)
|
|
인화귀원(引火歸源)
(치료원칙 화(火)를 끌어내려 신기(腎氣)를 튼튼히 하는 것을 말함.)
|
|
활혈통맥(活血通脈)
|
|
강근골(强筋骨)
(근육과 뼈를 강하고 튼튼하게 한다는 뜻임)
|
|
하행온보(下行溫補)
(기운을 아래로 통하게 하고 몸을 따뜻하게 보(補)하는 효능임)
|
작용부위 |
간(肝)
, 비(脾)
, 신(腎)
, 심(心)
|
성미 |
신감(辛甘)
, 열(熱)
|
약전기재 |
중국약전
|
주의사항 |
조피(粗皮)를 벗긴 수간피 |
독성 |
Not to be used pregnancy 1,2). Allergic reactions of skin and mucosa 2). 1) Bensky, D. and A. Gamble, Chinese Herbal Medicine, Eastland Press, Inc., 1986. 2) Blumenthal, M., ed; S. Klein, trans., Therapeutic monographs on medicinal plants for human use of the commission E Special expert committee, Fedral Health Agency, Germany, Austin;American Botanical Council, 1993. |
약재사용처방 |
가감백통탕(加減白通湯) /
제복냉통(臍腹冷痛)
, 고냉(痼冷)
|
|
가감속명탕(加減續命湯)[1] /
풍중부(風中腑)
, 태양중풍(太陽中風)
|
|
가감속명탕(加減續命湯)[2] /
태양중풍(太陽中風)
|
|
가감속명탕(加減續命湯)[3] /
양명중풍(陽明中風)
|
|
가감속명탕(加減續命湯)[4] /
중풍(中風)
, 태음병(太陰病)
, 무한(無汗)
|
|
가감속명탕(加減續命湯)[5] /
소음중풍(少陰中風)
|
|
가감속명탕(加減續命湯)[6] /
지절통(肢節痛)
, 소양중풍(少陽中風)
|
|
가감신기환(加減腎氣丸) /
신소(腎消)
|
|
가감팔미원(加減八味元) /
소갈전변증(消渴傳變證)
|
|
가감팔미환(加減八味丸) /
신수부족(腎水不足)
|
|
가미대보탕(加味大補湯) /
탄탄(癱瘓)
|
|
가미신기환(加味腎氣丸) /
신허부종(腎虛浮腫)
, 수종(水腫)
|
|
가미십기산(加味十奇散) /
옹저(癰疽)
|
|
가미십전대보탕(加味十全大補湯) /
허로(虛勞)
|
|
가미양장탕(加味養臟湯) /
휴식리(休息痢)
|
|
가미오령산(加味五苓散)[1] /
소변불통(小便不通)
|
|
가미오령산(加味五苓散)[2] /
한산(寒疝)
|
|
가미이중탕(加味理中湯)[1] /
고냉(痼冷)
|
|
강심단(降心丹) /
건망(健忘)
|
|
강활유풍탕(羌活愈風湯) /
풍중부(風中腑)
, 풍중장(風中臟)
|
|
건보환(健步丸) /
각슬위약(脚膝痿弱)
|
|
계령감로음(桂苓甘露飮)[1] /
서설(暑泄)
|
|
계령감로음(桂苓甘露飮)[2] /
서열번갈(暑熱煩渴)
|
|
계부탕(桂附湯)[2] /
백대(白帶)
|
|
계향산(桂香散)[2] /
한복통(寒腹痛)
|
|
계향환(桂香丸)[2] /
사태불하(死胎不下)
|
|
곡령환(谷靈丸) /
부인수척(婦人瘦瘠)
|
|
국방안신원(局方安腎元) /
신허요통(腎虛腰痛)
|
|
궁궁산(芎藭散)[2] /
비색(鼻塞)
|
|
귤피전원(橘皮煎元) /
비신구허(脾腎俱虛)
, 구리(久痢)
|
|
극통산(튽痛散) /
냉심통(冷心痛)
|
|
내탁강활탕(內托羌活湯) /
옹저(癰疽)
|
|
내탁산(內托散)[1] /
옹저(癰疽)
|
|
내탁산(內托散)[2] /
두진불기창(痘疹不起脹)
|
|
내탁산(內托散)[4] /
두창흑함(痘瘡黑陷)
|
|
내탁승마탕(內托升麻湯) /
악창(惡瘡)
, 유옹(乳癰)
|
|
녹용대보탕(鹿茸大補湯) /
양허(陽虛)
, 허손(虛損)
|
|
당귀사역탕(當歸四逆湯)[1] /
한산(寒疝)
|
|
대구도제고(代灸塗臍膏)[1] /
제복냉통(臍腹冷痛)
|
|
대구도제고(代灸塗臍膏)[2] /
고냉(痼冷)
, 제복통(臍腹痛)
|
|
대산우원(大山芋元) /
비위허약(脾胃虛弱)
, 노손(勞損)
|
|
대순산(大順散) /
중서(中暑)
|
|
대칠기탕(大七氣湯) /
육취(六聚)
, 대소변불리(大小便不利)
, 오적(五積)
, 심복창만(心腹脹滿)
|
|
도노산(桃奴散) /
월경불통(月經不通)
, 혈고(血蠱)
|
|
도노환(桃奴丸) /
월경불통(月經不通)
, 혈창(血脹)
|
|
독활기생탕(獨活寄生湯) /
각기(脚氣)
|
|
독활탕(獨活湯)[2] /
노역요통(勞役腰痛)
|
|
만병원(萬病元) /
전간(癲癎)
, 고독(蠱毒)
, 황달(黃疸)
, 벽괴(癖塊)
, 시주(尸注)
, 학질(瘧疾)
|
|
만응환(萬應丸)[2] /
적취(積聚)
|
|
목향산(木香散)[1] /
활설(滑泄)
|
|
목향유기음(木香流氣飮) /
종창(腫脹)
, 기통(氣痛)
|
|
목향탕(木香湯) /
냉림(冷淋)
|
|
반총산(蟠蔥散) /
한산(寒疝)
|
|
반하후박탕(半夏厚朴湯) /
창만(脹滿)
|
|
배풍탕(排風湯) /
풍중장(風中臟)
|
|
백출부자탕(白朮附子湯)[2] /
한중(寒中)
|
|
별리산(別離散) /
심풍(心風)
|
|
보골지환(補骨脂丸) /
노롱(勞聾)
|
|
보신양비환(補腎養脾丸) /
허로(虛勞)
|
|
보안환(保安丸) /
임신제병(妊娠諸病)
|
|
보양탕(補陽湯) /
예막(翳膜)
|
|
복령호박산(茯苓琥珀散) /
소변불리(小便不利)
|
|
복룡간산(伏龍肝散) /
붕루(崩漏)
, 제복냉통(臍腹冷痛)
, 오색대하(五色帶下)
|
|
부자이중탕(附子理中湯)[2] /
중한(中寒)
|
|
부종통치일방(浮腫通治一方) /
음종(陰腫)
|
|
분돈환(奔豚丸) /
신적(腎積)
|
|
비급오수원(備急五嗽元) /
기수(氣嗽)
, 음수(飮嗽)
, 사수(邪嗽)
|
|
비전수유내소원(秘傳茱萸內消元) /
수산(水疝)
|
|
삼기탕(蔘芪湯)[3] /
소변불금(小便不禁)
|
|
삼령장비원(蔘苓壯脾元) /
비위허한(脾胃虛寒)
|
|
삼소온폐탕(蔘蘇溫肺湯) /
한천(寒喘)
|
|
삼인총백산(三因蔥白散) /
한산(寒疝)
, 방광병(膀胱病)
|
|
삼일신기환(三一腎氣丸) /
신허(腎虛)
|
|
소속명탕(小續命湯) /
인사불성(人事不省)
, 탄탄(癱瘓)
, 졸중풍(卒中風)
|
|
소아초생구급방(小兒初生救急方)[2] /
태한(胎寒)
|
|
소자강기탕(蘇子降氣湯) /
상기천급(上氣喘急)
|
|
수유내소환(茱萸內消丸) /
한산(寒疝)
, 퇴산(㿉疝)
|
|
순기목향산(順氣木香散) /
한창(寒脹)
|
|
승금단(勝金丹)[3] /
무사(無嗣)
|
|
승양보위탕(升陽補胃湯) /
장벽(腸澼)
|
|
승양제습화혈탕(升陽除濕和血湯) /
장벽(腸澼)
|
|
신선태을고(神仙太乙膏) /
동창(凍瘡)
|
|
신효산(神效散)[2] /
냉심통(冷心痛)
|
|
십보환(十補丸) /
한산(寒疝)
, 음랭(陰冷)
|
|
십사미건중탕(十四味建中湯) /
허로(虛勞)
|
|
십사우원(十四友元) /
신지불녕(神志不寧)
|
|
십선산(十宣散) /
옹저(癰疽)
|
|
십육미유기음(十六味流氣飮)[1] /
유암(乳巖)
|
|
십육미유기음(十六味流氣飮)[2] /
신옹(腎癰)
|
|
십전대보탕(十全大補湯) /
음양구허(陰陽俱虛)
, 자한(自汗)
|
|
여의단(如意丹) /
귀수(鬼祟)
, 전광(癲狂)
, 온역(瘟疫)
, 노채(勞瘵)
|
|
염통산(拈痛散) /
통풍(痛風)
|
|
오금산(烏金散)[2] /
산후혈훈(産後血暈)
, 산후오로부진(産後惡露不盡)
|
|
오두계지탕(烏頭桂枝湯) /
한산(寒疝)
|
|
오령산(五苓散)[1] /
상한번갈(傷寒煩渴)
|
|
오령산(五苓散)[2] /
하초열(下焦熱)
|
|
오수유탕(吳茱萸湯)[2] /
음랭(陰冷)
|
|
온경탕(溫經湯) /
월경부조(月經不調)
|
|
온백원(溫白元) /
적취(積聚)
, 황달(黃疸)
, 징가(癥瘕)
|
|
온비산(溫脾散) /
구설(久泄)
|
|
우황청심원(牛黃淸心元)[1] /
전광(癲狂)
|
|
우황청심원(牛黃淸心元)[2] /
졸중풍(卒中風)
|
|
운모고(雲母膏)[1] /
골저(骨疽)
, 내저(內疽)
, 나력(瘰癧)
|
|
운모고(雲母膏)[2] /
옹저(癰疽)
|
|
위령탕(胃苓湯)[1] /
습설(濕泄)
|
|
위령탕(胃苓湯)[2] /
숙식(宿食)
, 내상비위증(內傷脾胃證)
|
|
익지화중탕(益智和中湯) /
하혈(下血)
, 장벽(腸澼)
|
|
인삼양영탕(人蔘養榮湯) /
음양구허(陰陽俱虛)
|
|
인진오령산(茵蔯五苓散) /
습열황달(濕熱黃疸)
|
|
입안산(立安散) /
좌섬요통(挫閃腰痛)
|
|
자석양신환(磁石羊腎丸) /
이롱(耳聾)
|
|
자신환(滋腎丸) /
소변불통(小便不通)
|
|
작약산(芍藥散) /
풍한협통(風寒脇痛)
|
|
장수산(漿水散) /
폭설(暴泄)
|
|
정기보허탕(正氣補虛湯) /
양허(陽虛)
|
|
정양산(正陽散)[1] /
상한음증(傷寒陰證)
|
|
정통산(定痛散)[2] /
역절풍(歷節風)
|
|
조경산(調經散) /
월경부조(月經不調)
|
|
조경양혈원(調經養血元) /
무자(無子)
|
|
종사환(螽斯丸) /
무사(無嗣)
|
|
증미사물탕(增味四物湯)[2] /
혈적(血積)
|
|
증손오적환(增損五積丸)[3] /
오적(五積)
, 신적(腎積)
|
|
증손오적환(增損五積丸)[4] /
오적(五積)
, 심적(心積)
|
|
증익귀용원(增益歸茸元) /
신허(腎虛)
|
|
지주(蜘蛛)[3] /
퇴산(㿉疝)
, 호산(狐疝)
|
|
지황음자(地黃飮子) /
중풍설음(中風舌瘖)
|
|
진교별갑산(秦艽鱉甲散) /
허로(虛勞)
|
|
진사오령산(辰砂五苓散) /
상한섬어(傷寒譫語)
|
|
진인양장탕(眞人養臟湯) /
적백리(赤白痢)
|
|
천궁육계탕(川芎肉桂湯) /
어혈요통(瘀血腰痛)
|
|
천금조경탕(千金調經湯) /
월경부조(月經不調)
|
|
추기양혈환(推氣養血丸) /
산후협통(産後脇痛)
|
|
칠기탕(七氣湯) /
심복교통(心腹絞痛)
, 칠정울결(七情鬱結)
|
|
침향별갑산(沈香鱉甲散) /
허손(虛損)
, 노상(勞傷)
|
|
침향온위환(沈香溫胃丸) /
곽란(霍亂)
, 비위허한(脾胃虛寒)
|
|
탁리황기탕(托裏黃芪湯)[2] /
부골저(附骨疽)
|
|
태을고(太乙膏) /
오발옹저(五發癰疽)
, 탕화상(燙火傷)
|
|
통경사물탕(通經四物湯) /
월경건기(月經愆期)
|
|
통관환(通關丸) /
소변불통(小便不通)
|
|
팔미환(八味丸) /
명문화쇠(命門火衰)
|
|
팔미흑신산(八味黑神散) /
혈훈(血暈)
, 산후오로부진(産後惡露不盡)
|
|
팔보회춘탕(八寶回春湯) /
중풍(中風)
, 허증(虛症)
|
|
평보진심단(平補鎭心丹) /
경계(驚悸)
, 백탁(白濁)
, 유정(遺精)
|
|
호골환(虎骨丸) /
행지(行遲)
|
|
활혈구풍산(活血驅風散)[2] /
신장풍창(腎臟風瘡)
|
|
황기별갑산(黃芪鱉甲散) /
허로(虛勞)
, 노손(勞損)
|
|
황기십보탕(黃芪十補湯) /
음양구허(陰陽俱虛)
|
|
회양구급탕(回陽救急湯) /
상한음증(傷寒陰證)
|
|
후박귤피전(厚朴橘皮煎) /
한창(寒脹)
|
|
후박환(厚朴丸) /
중초토식(中焦吐食)
|
|
흑신산(黑神散)[3] /
산후발열(産後發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