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틴명 |
Psoraleae Semen |
약재의 효능 |
염정신(斂精神)
(정신을 추스리는 효능임)
|
|
축냉기(逐冷氣)
(냉기를 쫓아내는 효능임)
|
|
명이목(明耳目)
(눈과 귀를 밝게 하는 효능임)
|
|
난단전(暖丹田)
(단전(丹田)을 따뜻하게 하는 효능임)
|
|
축소변(縮小便)
(소변이 너무 잦을때 하초의 기운을 공고히 하여 이를 다스리는 효능임)
|
|
온명문(溫命門)
(명문(命門)의 상화(相火)의 기운을 보태주는 효능임)
|
|
장원양(壯元陽)
(원양(元陽)을 튼튼히 하는 효능임)
|
|
납기(納氣)
(신(腎)에서 폐(肺)에서 흡수한 기운을 받아들이는 효능임)
|
|
지사(止瀉)
(설사(泄瀉)를 치료하는 효능임)
|
|
장화익토(壯火益土)
(화기(火氣)를 보충하여 상생(上生)작용으로 토기(土氣)의 영양을 유도하는 효능임.)
|
작용부위 |
비(脾)
, 신(腎)
|
성미 |
고신(苦辛)
, 온(溫)
|
주의사항 |
음허유화(陰虛有火), 몽설요혈(夢泄溺血), 대변폐결자(大便閉結者)는 복용하지 말 것. |
독성 |
Mild; active, but toxicity appears very mild unless used for long time 1,2). 1) H.K. Do, Shin Rhong Bon Cho Kyung, 452. 2) H.T. Rhu, Hyang Yak Jip Sung Bang, 1431. |
약재사용처방 |
가감내고환(加減內固丸) /
음위(陰痿)
, 음랭(陰冷)
|
|
가감보음환(加減補陰丸) /
음허(陰虛)
|
|
가미오령산(加味五苓散)[2] /
한산(寒疝)
|
|
가미청아원(加味靑娥元) /
신허요통(腎虛腰痛)
|
|
가미호잠환(加味虎潛丸) /
음양구허(陰陽俱虛)
|
|
고진음자(固眞飮子) /
오심번열(五心煩熱)
, 음양구허(陰陽俱虛)
|
|
구미안신환(九味安腎丸)[1] /
신허요통(腎虛腰痛)
, 목현(目眩)
, 이롱(耳聾)
|
|
구미안신환(九味安腎丸)[2] /
신허목현(腎虛目眩)
, 요통(腰痛)
, 신허이롱(腎虛耳聾)
|
|
국방안신원(局方安腎元) /
신허요통(腎虛腰痛)
|
|
금령자환(金鈴子丸) /
음란편추(陰卵偏墜)
, 퇴산(㿉疝)
|
|
금박환(金箔丸) /
백음(白淫)
, 몽설(夢泄)
|
|
금쇄단(金鎖丹) /
정기불고(精氣不固)
|
|
녹각산(鹿角散)[1] /
몽설(夢泄)
|
|
녹용환(鹿茸丸) /
소갈(消渴)
, 신허(腎虛)
|
|
두충환(杜仲丸) /
신허요통(腎虛腰痛)
|
|
목향산(木香散)[1] /
활설(滑泄)
|
|
목향산(木香散)[2] /
신설(腎泄)
|
|
목향순기환(木香順氣丸)[1] /
기통(氣痛)
|
|
묘응단(妙應丹)[1] /
징가(癥瘕)
, 식적(食積)
|
|
반룡단(斑龍丹) /
허로(虛勞)
|
|
백배환(百倍丸) /
절상(折傷)
, 신허요통(腎虛腰痛)
, 좌섬(挫閃)
|
|
보골지환(補骨脂丸) /
노롱(勞聾)
|
|
보수단(補髓丹)[1] /
신허요통(腎虛腰痛)
|
|
보신양비환(補腎養脾丸) /
허로(虛勞)
|
|
보신원(補腎元) /
원예(圓翳)
|
|
보신탕(補腎湯) /
신허요통(腎虛腰痛)
|
|
보신환(補腎丸)[3] /
이명(耳鳴)
|
|
사신환(四神丸)[2] /
신설(腎泄)
|
|
사제창백환(四製蒼柏丸) /
각슬위약(脚膝痿弱)
|
|
사초고진단(四炒固眞丹) /
소변백탁(小便白濁)
|
|
사초천련환(四炒川練丸) /
산(疝)
|
|
삼미안신환(三味安腎丸) /
신허(腎虛)
|
|
삼수환(三茱丸) /
기산(氣疝)
|
|
삼신환(三神丸)[2] /
신설(腎泄)
|
|
삼출건비환(蔘朮健脾丸) /
구설(久泄)
|
|
서련환(瑞蓮丸)[2] /
허로(虛勞)
|
|
속사단(續嗣丹) /
무사(無嗣)
|
|
속효산(速效散)[2] /
식적요통(食積腰痛)
|
|
신선거승자원(神仙巨勝子元) /
허로(虛勞)
|
|
신효산(神效散)[2] /
냉심통(冷心痛)
|
|
십보환(十補丸) /
한산(寒疝)
, 음랭(陰冷)
|
|
양혈장근건보환(養血壯筋健步丸) /
양각위연(兩脚痿軟)
|
|
오초천련환(五炒川練丸) /
산(疝)
|
|
올눌보천환(膃肭補天丸)[1] /
허손(虛損)
, 음위(陰痿)
|
|
올눌보천환(膃肭補天丸)[2] /
허로(虛勞)
|
|
육신탕(六神湯) /
신설(腎泄)
|
|
응통원(應痛元) /
견비통(肩臂痛)
|
|
이신환(二神丸)[1] /
신설(腎泄)
|
|
이신환(二神丸)[2] /
비신구허(脾腎俱虛)
, 식감(食減)
|
|
이지환(二至丸) /
음양구허(陰陽俱虛)
|
|
익수고진단(益壽固眞丹) /
허로(虛勞)
|
|
인삼평보탕(人蔘平補湯) /
신허(腎虛)
|
|
장본단(壯本丹) /
신허요통(腎虛腰痛)
|
|
적출원(赤朮元) /
부골저(附骨疽)
|
|
제음환(濟陰丸) /
음허노손(陰虛勞損)
|
|
조중건비환(調中健脾丸) /
비설(脾泄)
|
|
지혈산(止血散) /
장풍(腸風)
|
|
창출난명단(蒼朮難名丹) /
임력(淋瀝)
, 소변혼탁(小便混濁)
|
|
천련산(川練散) /
분돈(奔豚)
, 목신(木腎)
|
|
청목향원(靑木香元) /
한산(寒疝)
|
|
청아원(靑娥元) /
신허요통(腎虛腰痛)
|
|
치소변백탁출수조방(治小便白濁出髓條方) /
정활(精滑)
|
|
치습요통우방(治濕腰痛又方) /
습요통(濕腰痛)
|
|
칠미창백산(七味蒼柏散) /
습열요통(濕熱腰痛)
|
|
탕산환(蕩疝丸) /
기산(氣疝)
|
|
태극환(太極丸) /
신허(腎虛)
|
|
파고지(破故紙)[2] /
요통(腰痛)
|
|
팔미보신환(八味補腎丸) /
신허(腎虛)
|
|
향백원(香白元) /
구토(嘔吐)
, 담연옹성(痰涎壅盛)
|
|
향초산(香椒散) /
치통(齒痛)
|
|
황흑산(黃黑散) /
장옹(腸癰)
|
|
회향안신탕(茴香安腎湯) /
음란편추(陰卵偏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