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진(茵蔯) / 사철쑥
익생양술에서
"사철쑥"로 처방에 사용됨
동의보감에서 "인진(茵蔯) / 사철쑥"로 처방에 사용되었음.
분포 |
전국 각지 |
채취기간 |
5~6월 |
키 |
30~100cm |
취급요령 |
햇볕에 말려 쓴다. |
생지 |
냇가 모래땅 |
성미 |
평온하며, 쓰다. |
분류 |
여러해살이풀 |
독성여부 |
없다. |
번식 |
분근ㆍ씨 |
1회사용량 |
6~10g |
약효 |
온포기 |
사용범위 |
1~2개월 정도는 무방하다. |
잎
어긋나지만 꽃이 피지 않는 가지의 끝에서는 뭉쳐난다. 밑 부분에 달린 잎은 잎자루가 길고 길이 1.5~9cm, 나비 1~7cm로서 2회 깃꼴로 완전히 갈라진다. 갈라진 조각은 나비 약 0.3mm로서 실처럼 가늘고 전체가 비단 같은 털로 덮여 있다. 잎은 위로 올라갈수록 작아진다.
꽃
8~9월에 지름 2mm 안팎의 둥근 두상화가 원추 꽃차례를 이루며 노랗게 달려 핀다. 두상화는 촘촘하게 나며 밑으로 약간 수그러드는데 길이 1~2mm의 꽃자루가 있다. 꽃차례받침은 둥글고 털이 없다. 꽃턱잎 조각은 3~4줄로 늘어서는데 바깥 조각은 달걀꼴이고 안쪽 조각은 타원형이다.
열매
8~9월에 길이 0.8mm 정도의 수과가 달려 익는다.
특징 및 사용
애탕쑥ㆍ인진호ㆍ인진이라고도 한다. 줄기의 밑 부분은 목질이 발달하여 나무처럼 되고 가지가 많이 갈라지는데 어린가지는 회백색의 잔털로 덮여 있다. 열매를 인진호실(茵蔯蒿實)이라 한다. 사방용(砂防用)ㆍ식용ㆍ약용으로 이용된다. 어린순은 식용한다. 약으로 쓸 때는 탕으로 하거나 환제로 하여 사용한다. 남자가 장복하면 양기가 준다고 전해진다.
익생양술 효능
주로 간장을 다스리며, 피부과 계통의 질환에도 효험이 있다.
인진(茵蔯) / 사철쑥
라틴명 |
Artemisiae Scopariae Herba |
약재의 효능 |
청열이습(淸熱利濕)
(열을 꺼주고 습사(濕邪)를 제거하는 효능임.)
|
|
배석이담(排石利膽)
(결석을 없애 담(膽)의 기능이 편리하도록 하는 효능임)
|
|
발한이뇨(發汗利尿)
(발한(發汗)시키고 소변을 잘 나오게 하는 효능임)
|
|
관격화담(寬膈化痰)
(흉격(胸膈)을 온후하게 하고 담(痰)을 없애는 효능임)
|
|
사간열(瀉肝熱)
(간열(肝熱)이 왕성한 것을 치료하는 효능임)
|
|
소간울(疏肝鬱)
|
|
제제황(除諸黃)
(모든 황달(黃疸)의 기운을 제거하는 효능임)
|
|
익기(益氣)
|
|
경신(輕身)
(몸을 가볍게 하는 효능임)
|
|
열색(悅色)
(피부의 색깔을 윤택하고 생기있게 하는 효능임)
|
|
장년(長年)
|
작용부위 |
간(肝)
, 담(膽)
, 비(脾)
, 위(胃)
|
성미 |
고신(苦辛)
, 미한(微寒)
|
약전기재 |
중국약전
|
독성 |
Adverse effects include nausea, abdominal distension, and dizziness.1).Not to be used during pregnancy 2). 1) Huang, K.C., The pharmacology of Chinese herbs II, CRC press, 1999. 2) AHPA Safety & Labeling Guideliness SubCommittee;Michael McGuffin, Chair; Christopher Hobbs, L.Ac; and Roy Upton. |
약재사용처방 |
기진탕(芪蔯湯) /
황한(黃汗)
|
|
당귀백출탕(當歸白朮湯) /
주달(酒疸)
|
|
도씨인진탕(陶氏茵蔯湯) /
대소변불리(大小便不利)
, 황달(黃疸)
|
|
반온반열탕(半溫半熱湯) /
주달(酒疸)
|
|
복령삼습탕(茯苓渗濕湯) /
습열황달(濕熱黃疸)
|
|
비기환(肥氣丸) /
비적(脾積)
|
|
석고인진산(石膏茵蔯散) /
황달(黃疸)
|
|
양유방(釀乳方)[2] /
태열(胎熱)
|
|
용담산(龍膽散)[2] /
간열목통(肝熱目痛)
|
|
인진(茵蔯)[1] /
창개(瘡疥)
, 풍양(風痒)
|
|
인진(茵蔯)[2] /
장학(瘴瘧)
|
|
인진강부탕(茵蔯薑附湯) /
음황(陰黃)
, 냉한(冷汗)
|
|
인진귤피탕(茵蔯橘皮湯) /
음황(陰黃)
|
|
인진대황탕(茵蔯大黃湯) /
상한황달(傷寒黃疸)
|
|
인진복령탕(茵蔯茯苓湯) /
음황(陰黃)
|
|
인진부자건강탕(茵蔯附子乾薑湯) /
음황(陰黃)
|
|
인진부자탕(茵蔯附子湯) /
음황(陰黃)
|
|
인진사역탕(茵蔯四逆湯) /
음황(陰黃)
|
|
인진사황탕(茵蔯瀉黃湯) /
온황(瘟黃)
|
|
인진산(茵蔯散) /
황달(黃疸)
|
|
인진삼물탕(茵蔯三物湯) /
황달(黃疸)
, 소변불리(小便不利)
|
|
인진오령산(茵蔯五苓散) /
습열황달(濕熱黃疸)
|
|
인진오수유탕(茵蔯吳茱萸湯) /
음황(陰黃)
|
|
인진치자탕(茵蔯梔子湯) /
곡달(穀疸)
|
|
인진탕(茵蔯湯) /
곡달(穀疸)
|
|
인진환(茵蔯丸) /
장학(瘴瘧)
, 온역(瘟疫)
, 황달(黃疸)
|
|
장달환(瘴疸丸) /
시행황병(時行黃病)
, 역려발황(疫癘發黃)
|
|
제생인진탕(濟生茵蔯湯) /
역려발황(疫癘發黃)
|
|
증손오적환(增損五積丸)[2] /
오적(五積)
, 간적(肝積)
|
|
침사환(鍼砂丸) /
주달(酒疸)
, 곡달(穀疸)
|
|
통령산(通笭散)[2] /
서열번갈(暑熱煩渴)
|
|
퇴황산(退黃散) /
황달(黃疸)
|
|
필효산(必效散)[2] /
황달(黃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