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틴명 |
Rhei Radix et Rhizoma |
약재의 효능 |
사열독(瀉熱毒)
(열독(熱毒)을 없애는 효능임)
|
|
파적체(破積滯)
(몸 안의 적취(積聚)와 체기(滯氣)를 흩어주는 효능임)
|
|
공하냉적(攻下冷積)
(냉적(冷積)을 공하(攻下)하는 효능임)
|
|
통리대변(通利大便)
(대변이 잘 나오게 하는 효능임)
|
|
양혈해독(凉血解毒)
(양혈(凉血)하고 해독(解毒)하는 효능임)
|
|
행어혈(行瘀血)
(어혈(瘀血)을 소통시켜 풀어주는 효능임)
|
|
이관절(利關節)
(관절의 움직임을 편하게 하는 효능임)
|
|
사수(瀉水)
(수(水)를 빼는 효능임)
|
|
화식(化食)
(음식물을 소화시키는 효능임)
|
|
통경락(通經絡)
(경락을 소통시키는 효능임)
|
|
식농(蝕膿)
(고름을 제거하는 효능임)
|
|
사실열(瀉實熱)
(열을 낮추는 효능임)
|
|
하적체(下積滯)
(비정상적인 물질들이 몸 안에서 쌓이고 혹은 정체한 것을 아래로 내리는 효능임)
|
|
산어혈(散瘀血)
(어혈(瘀血)을 제거하는 효능임)
|
작용부위 |
간(肝)
, 대장(大腸)
, 위(胃)
|
성미 |
고(苦)
, 한(寒)
|
약전기재 |
대한약전
, 일본약국방
, 중국약전
|
주의사항 |
임신부는 신중하게 쓸 것. |
독성 |
The major symptoms of overdose are griping and severe diarrhoea with consequent losses of fluid and electrolytes 1). Treatment should be supportive with generous amounts of fluid. Electrolytes, particularly possium, should be monitored, especilly in children and the elderly. As with other stimulant laxatives, products containing Rhei Rhizom should not be administered to patients with intestinal obstruction and stenosis, atony, severe dehydration states with water and electrolyte depletion, or chronic constipation. Rhei Rhizom should not be used in patients with inflammatory intestinal diseases, such as appendicitis, Crohn disease, ulcerative colitis, or irritable bowel syndrome, or in children under 10 years of age. Rhei Rhizom should not be used during pregnancy or lactation except under medical supervision after respective benefits and risks have been considered. As with other stimulant laxatives, Rhei Rhizom is contraindicated in patients with cramps, colic, haemorrhoids, nephritis, or any undiagnosed abdominal symptoms such as pain, nausea, or vomiting 2, 3). Products containing Rhei Rhizom should be used only if no effect can be obtained through a change of diet or use of bulk-forming laxatives. Rectal bleeding or failure to have a bowel movement after the use of a laxative may indicate a serious condition 1). Use of stimulant laxatives for longer than the recommanded short term application may increase intestinal sluggishness 4). The use of stimulant laxatives for more than 2 weeks requires medical supervision. Chronic use may lead to pseudomelanosis coli and to an aggravation of constipation with dependence and possible need for increased dosages. Chronic abuse with diarrhoea and consequent fluid and electrolyte losses may cause albuminuria and haematuria, and it may result in cardiac and neuromuscular dysfunction, the latter particularly in case of concomitant use of cardic glycosides, diuretics, coticosteroids, or liquorice root. Single doses may cause cramp like discomfort of the gastrointestinal tract, which may require a reduction of dosage. Chronic abuse of anthraquinone stimulant laxatives can lead to hepatitis 6). Weakness and orthostatic hypotension may be exacerbated in elderly patients when stimulant laxatives are repeatedly used 5). Secondary aldosteronism may occur due to renal tubular damage after aggravated use. Steatorrhoea and protein losing gastroenteropathy with hypoalbuminaemia have also been reported in laxative abuse 7). Melanotic pigmentation of the colonic mucosa has been observed in individuals taking anthraquinone laxatives for extended time periods 1, 8). The pigmentation is clinically harmless and usually reversible within 4-12 months after thr drug has been discontinued 8, 9). Conflicting data exist on other toxic effects such as intestinal neuronal damage after long term use 8). Low / toxic class of herbaceous folk medicine.(toxic; active but toxic, cautious/very toxic, at small dose, usually used for emergency case) 9.10). 1) Goodman and Gilman's the pharmacological basis of therapeutics, 8th ed. New York, McGraw Hill, 1990. 2) Reynolds JEF, ed. Martindale, the extra pharmacopoeia, 30th ed. London, Pharmaceutical Press, 1993;903. 3) Bisset NG. Max Wichtl's herbal drugs |
약재사용처방 |
가감용회환(加減龍薈丸) /
담화이명(痰火耳鳴)
|
|
가미강황환(加味殭黃丸) /
대두온(大頭瘟)
, 노자온(鸕鶿瘟)
, 하마온(蝦蟆瘟)
|
|
가미금화환(加味金花丸) /
삼초열(三焦熱)
|
|
가미소위단(加味小胃丹) /
담괴(痰塊)
|
|
가미시호탕(加味柴胡湯) /
장역(瘴疫)
|
|
가미패독산(加味敗毒散)[1] /
각기(脚氣)
|
|
갈근탕(葛根湯) /
상한양독(傷寒陽毒)
|
|
강국산(羌菊散) /
수명(羞明)
, 두후생예막(痘後生瞖膜)
|
|
강활도체탕(羌活導滯湯) /
각기(脚氣)
|
|
강황환(殭黃丸) /
대두온(大頭瘟)
, 후비(喉痺)
|
|
개결기실환(開結枳實丸) /
기체(氣滯)
, 담음(痰飮)
|
|
거삼시충원(去三尸蟲元) /
삼시충(三尸蟲)
|
|
거삼시충일방(去三尸蟲一方) /
삼시충(三尸蟲)
|
|
거풍지보단(祛風至寶丹) /
풍중장(風中臟)
, 혼모(昏冒)
|
|
경효산(輕效散) /
안피물타당(眼被物打撞)
, 혈관동인(血灌瞳仁)
, 예막(翳膜)
|
|
계두환(鷄頭丸) /
어지(語遲)
|
|
계령탕(桂苓湯) /
혈분증(血分證)
|
|
계명산(鷄鳴散) /
도전상(刀剪傷)
, 금창(金瘡)
, 타박상(打撲傷)
|
|
계시례산(鷄矢醴散) /
곡창(穀脹)
|
|
고삼산(苦蔘散) /
역려발황(疫癘發黃)
|
|
곤담환(滾痰丸) /
습담(濕痰)
, 열담(熱痰)
|
|
관장환(寬腸丸)[2] /
치루(痔瘻)
, 항문양통(肛門痒痛)
|
|
교태환(交泰丸) /
조잡(嘈雜)
|
|
구풍고(驅風膏) /
급경풍(急驚風)
|
|
금화산(金華散)[2] /
두후옹절(痘後癰癤)
|
|
기각좌산(枳殼剉散) /
열창(熱脹)
|
|
기각환(枳殼丸)[2] /
귀배(龜背)
|
|
기실대황탕(枳實大黃湯)[1] /
각기(脚氣)
|
|
기실대황탕(枳實大黃湯)[2] /
식상(食傷)
|
|
기실도체환(枳實導滯丸) /
상식(傷食)
|
|
기제해독탕(旣濟解毒湯) /
대두온(大頭瘟)
|
|
내소승마탕(內消升麻湯) /
부골저(附骨疽)
|
|
내소옥설탕(內消沃雪湯) /
내저(內疽)
, 위완옹(胃脘癰)
, 두옹(肚癰)
|
|
내소황련탕(內疏黃連湯) /
옹저(癰疽)
|
|
녹운고(綠雲膏) /
마도창(馬刀瘡)
, 나력(瘰癧)
|
|
누로산(漏蘆散)[2] /
대두온(大頭瘟)
|
|
누로음자(漏蘆飮子) /
악창(惡瘡)
, 부골저(附骨疽)
|
|
단대황고(單大黃膏) /
월폐(月閉)
|
|
단홍원(斷紅元) /
장풍(腸風)
|
|
당귀승기탕(當歸承氣湯)[1] /
양광(陽狂)
|
|
당귀승기탕(當歸承氣湯)[2] /
변혈(便血)
|
|
당귀승기탕(當歸承氣湯)[3] /
혈조조고(血燥爪枯)
, 풍습소양(風濕瘙痒)
|
|
당귀용회환(當歸龍薈丸) /
간실열(肝實熱)
, 협통(脇痛)
|
|
당귀욱리인탕(當歸郁李仁湯) /
항문양통(肛門痒痛)
, 치루(痔瘻)
|
|
당귀윤조탕(當歸潤燥湯) /
대변비결(大便秘結)
|
|
당귀음(當歸飮) /
혈수(血嗽)
|
|
당귀환(當歸丸) /
두창대변비결(痘瘡大便秘結)
|
|
대궁황탕(大芎黃湯) /
파상풍(破傷風)
, 자한(自汗)
|
|
대금화환(大金花丸) /
삼초화(三焦火)
|
|
대마인환(大麻仁丸) /
대변비결(大便秘結)
|
|
대성준천산(大聖濬川散) /
수습(水濕)
|
|
대승기탕(大承氣湯) /
흉복창만(胸腹脹滿)
, 상한이증(傷寒裏證)
|
|
대시호탕(大柴胡湯) /
상한양명병(傷寒陽明病)
|
|
대함흉탕(大陷胸湯) /
열결흉(熱結胸)
|
|
대함흉환(大陷胸丸) /
열결흉(熱結胸)
|
|
대황(大黃)[2] /
혈가(血瘕)
, 혈폐(血閉)
|
|
대황(大黃)[3] /
열리(熱痢)
, 농혈리(膿血痢)
|
|
대황(大黃)[6] /
적취(積聚)
, 징가(癥瘕)
|
|
대황(大黃)[7] /
열독종(熱毒腫)
, 옹저(癰疽)
|
|
대황(大黃)[8] /
산후악혈충심(産後惡血衝心)
, 태의불하(胎衣不下)
|
|
대황감초음자(大黃甘草飮子) /
소갈(消渴)
|
|
대황견우산(大黃牽牛散) /
대변비결(大便秘結)
|
|
대황고(大黃膏) /
연절(軟癤)
|
|
대황목단탕(大黃牧丹湯) /
장옹(腸癰)
|
|
대황산(大黃散) /
열훈(熱暈)
|
|
대황음자(大黃飮子) /
대변비결(大便秘結)
|
|
대황좌경탕(大黃左經湯) /
각기(脚氣)
|
|
대황탕(大黃湯)[1] /
농혈리(膿血痢)
, 열리(熱痢)
|
|
대황탕(大黃湯)[2] /
반위(反胃)
, 냉연(冷涎)
|
|
도경환(導經丸) /
월폐(月閉)
, 복통(腹痛)
, 요통(腰痛)
|
|
도계기보환(桃溪氣寶丸) /
대변비결(大便秘結)
, 징가(癥瘕)
, 적취(積聚)
, 식적(食積)
|
|
도기탕(導氣湯) /
이급후중(裏急後重)
, 농혈리(膿血痢)
|
|
도수환(導水丸) /
습열울체(濕熱鬱滯)
|
|
도씨인진탕(陶氏茵蔯湯) /
황달(黃疸)
, 대소변불리(大小便不利)
|
|
도씨황룡탕(陶氏黃龍湯) /
심하비경(心下痞硬)
, 상한이증(傷寒裏證)
|
|
도인승기탕(桃仁承氣湯) /
소복급통(小腹急痛)
, 상한축혈증(傷寒蓄血證)
|
|
도인전(桃仁煎) /
혈가(血瘕)
, 혈고(血蠱)
|
|
도적원(導赤元) /
소변불통(小便不通)
|
|
도체산(導滯散) /
대변비결(大便秘結)
, 손상어혈(損傷瘀血)
|
|
도체탕(導滯湯) /
농혈리(膿血痢)
|
|
도환산(倒換散) /
대소변불통(大小便不通)
|
|
독활탕(獨活湯)[2] /
노역요통(勞役腰痛)
|
|
동원탁리산(東垣托裏散) /
위완옹(胃脘癰)
, 내저(內疽)
|
|
만응고(萬應膏)[1] /
옹저(癰疽)
, 열독종(熱毒腫)
|
|
만응고(萬應膏)[2] /
옹종(癰腫)
|
|
만응환(萬應丸)[1] /
제충(諸蟲)
|
|
만응환(萬應丸)[2] /
적취(積聚)
|
|
맥전산(麥煎散) /
골증(骨蒸)
|
|
멸반법(滅瘢法) /
천포창(天疱瘡)
, 양매창(楊梅瘡)
|
|
명목유기음(明目流氣飮) /
유루(流淚)
, 간허예장(肝虛翳障)
|
|
모려대황탕(牡蠣大黃湯) /
변옹(便癰)
|
|
목향기각환(木香枳殼丸) /
탄산(呑酸)
, 적취(積聚)
|
|
목향도기탕(木香導氣湯) /
금구리(噤口痢)
, 이질(痢疾)
|
|
목향도체환(木香導滯丸) /
상식(傷食)
|
|
목향빈랑환(木香檳榔丸)[1] /
기통(氣痛)
, 기체흉비(氣滯胸痞)
|
|
목향산(木香散)[1] /
활설(滑泄)
|
|
목향삼릉산(木香三稜散) /
복장충(腹藏蟲)
|
|
목향순기환(木香順氣丸)[2] /
습열창만(濕熱脹滿)
|
|
목향화중환(木香和中丸) /
담적(痰積)
|
|
묘응환(妙應丸)[1] /
충적(蟲積)
|
|
무극환(無極丸) /
경폐(經閉)
, 아침통(兒枕痛)
|
|
반혼추명재조산(返魂追命再造散)[1] /
대풍창(大風瘡)
|
|
방기초력환(防己椒藶丸) /
수창(水脹)
|
|
방풍당귀음자(防風當歸飮子) /
하초열(下焦熱)
|
|
방풍산(防風散)[2] /
열궐두통(熱厥頭痛)
|
|
방풍통성산(防風通聖散)[1] /
중풍열증(中風熱證)
|
|
방풍통성산(防風通聖散)[2] /
열풍(熱風)
|
|
백합단(百合丹) /
귀흉(龜胸)
|
|
보생구고산(保生救苦散) /
탕화상(燙火傷)
|
|
복원활혈탕(復元活血湯) /
낙상(落傷)
|
|
부자사심탕(附子瀉心湯) /
상한비기(傷寒痞氣)
|
|
비급환(備急丸)[1] /
귀격(鬼擊)
, 중악(中惡)
, 객오(客忤)
|
|
비약환(脾約丸) /
비약증(脾約證)
|
|
빙황산(氷黃散) /
소아단독(小兒丹毒)
|
|
사간산(瀉肝散) /
오풍혼암(烏風昏暗)
, 간열생예(肝熱生翳)
|
|
사생환(四生丸)[2] /
적열(積熱)
, 담화(痰火)
|
|
사순청량음(四順淸凉飮) /
혈열(血熱)
|
|
사신탕(瀉腎湯) /
임(淋)
|
|
사심탕(瀉心湯)[2] /
심옹(心癰)
|
|
사위탕(瀉胃湯)[1] /
순종(脣腫)
, 순창(脣瘡)
|
|
사청환(瀉靑丸)[1] /
간기울결(肝氣鬱結)
|
|
사청환(瀉靑丸)[2] /
축닉(搐搦)
, 급경풍(急驚風)
|
|
사황산(四黃散) /
탕화상(燙火傷)
|
|
삼릉전원(三稜煎元)[1] /
육적(肉積)
, 혈적(血積)
, 혈고(血蠱)
|
|
삼릉화적환(三稜化積丸) /
적취(積聚)
|
|
삼성고(三聖膏)[2] /
적괴(積塊)
|
|
삼인환(蔘仁丸) /
대변비결(大便秘結)
|
|
삼일승기탕(三一承氣湯)[1] /
대소변불통(大小便不通)
|
|
삼일승기탕(三一承氣湯)[2] /
상한이증(傷寒裏證)
|
|
삼일승기탕(三一承氣湯)[3] /
반위(反胃)
, 구토(嘔吐)
, 열격(噎膈)
, 대변비결(大便秘結)
|
|
삼장군원(三將軍元) /
각기위증(脚氣危證)
|
|
삼화신우환(三花神祐丸)[1] /
수습종만(水濕腫滿)
|
|
삼화신우환(三花神祐丸)[2] /
임폐(淋閉)
, 수습(水濕)
, 복창(腹脹)
, 중만(中滿)
, 천수(喘嗽)
|
|
삼화탕(三化湯) /
풍중장(風中臟)
, 풍중부(風中腑)
|
|
삼화탕(三和湯)[1] /
혈폐(血閉)
, 열결(熱結)
|
|
삼황거승탕(三黃巨勝湯) /
상한양독(傷寒陽毒)
, 광간(狂癎)
|
|
삼황기출환(三黃枳朮丸) /
상식(傷食)
|
|
삼황사심탕(三黃瀉心湯)[1] /
토혈(吐血)
|
|
삼황사심탕(三黃瀉心湯)[2] /
상한비기(傷寒痞氣)
|
|
삼황산(三黃散)[2] /
개선(疥癬)
|
|
삼황원(三黃元) /
삼초열(三焦熱)
|
|
삼황탕(三黃湯)[2] /
삼초열(三焦熱)
|
|
생지황산(生地黃散) /
안피물타당(眼被物打撞)
|
|
생지황탕(生地黃湯)[1] /
축혈(畜血)
|
|
석결명산(石決明散)[1] /
선라풍(旋螺風)
, 해정(蟹睛)
|
|
석고인진산(石膏茵蔯散) /
황달(黃疸)
|
|
선방활명음(仙方活命飮) /
악창(惡瘡)
, 옹저(癰疽)
|
|
선응고(善應膏)[1] /
악창(惡瘡)
|
|
선응고(善應膏)[2] /
악창(惡瘡)
|
|
세간산(洗肝散) /
간실(肝實)
|
|
세심산(洗心散) /
중초열(中焦熱)
, 구설생창(口舌生瘡)
|
|
소괴환(消塊丸) /
징가(癥瘕)
, 비괴(痞塊)
|
|
소독음(消毒飮)[1] /
검생풍속(瞼生風粟)
|
|
소독음(消毒飮)[2] /
변독(便毒)
|
|
소독환(消毒丸) /
대두온(大頭瘟)
|
|
소방산(蘇方散) /
변옹(便癰)
|
|
소승기탕(小承氣湯) /
상한이증(傷寒裏證)
|
|
소어음(消瘀飮) /
어혈복통(瘀血腹痛)
|
|
소용회환(小龍薈丸) /
기울협통(氣鬱脇痛)
|
|
소위단(小胃丹) /
습담(濕痰)
, 풍담(風痰)
, 식적담수(食積痰嗽)
, 열담(熱痰)
|
|
소통성산(小通聖散) /
중풍열증(中風熱證)
|
|
소풍순기원(疏風順氣元) /
노인대변비결(老人大便秘結)
|
|
소풍윤장환(疎風潤腸丸) /
대변비결(大便秘結)
|
|
소풍패독산(消風敗毒散) /
천포창(天疱瘡)
, 양매창(楊梅瘡)
|
|
소핵환(消核丸) /
경항결핵(頸項結核)
|
|
송예단(松蘂丹) /
귀배(龜背)
|
|
수념산(手捻散) /
요통(腰痛)
, 복통(腹痛)
|
|
수풍윤장환(搜風潤腸丸) /
대변비결(大便秘結)
|
|
수풍환(搜風丸)[1] /
각기(脚氣)
|
|
수풍환(搜風丸)[2] /
풍비(風秘)
, 열비(熱秘)
|
|
순기산(順氣散) /
중소(中消)
|
|
승마산(升麻散) /
구미(口糜)
|
|
승마탕(升麻湯)[1] /
비사(鼻齄)
|
|
승마화기음(升麻和氣飮) /
개선(疥癬)
|
|
시호음자(柴胡飮子) /
간실열(肝實熱)
|
|
신궁도수환(神芎導水丸) /
정수(停水)
, 노채(勞瘵)
|
|
신기산(神奇散)[2] /
변옹(便癰)
|
|
신선태을고(神仙太乙膏) /
동창(凍瘡)
|
|
십회산(十灰散)[1] /
객혈(喀血)
, 수혈(嗽血)
, 구혈(嘔血)
, 토혈(吐血)
|
|
십회산(十灰散)[2] /
허로(虛勞)
|
|
쌍오산(雙烏散) /
상손동통(傷損疼痛)
|
|
쌍해산(雙解散)[1] /
상한표리불해(傷寒表裏不解)
|
|
쌍해산(雙解散)[2] /
변옹(便癰)
|
|
양격산(凉膈散) /
구설생창(口舌生瘡)
, 적열(積熱)
|
|
양혈해독환(凉血解毒丸) /
하감창(下疳瘡)
|
|
여신산(如神散)[2] /
동창(凍瘡)
|
|
연년호명단(延年護命丹) /
혈적(血積)
, 충적(蟲積)
, 적취(積聚)
|
|
영양각산(羚羊角散)[2] /
검경정동(瞼硬睛疼)
|
|
영양각산(羚羊角散)[3] /
해정(蟹睛)
|
|
오리대황탕(五利大黃湯) /
옹저(癰疽)
|
|
오선고(五仙膏) /
비괴(痞塊)
, 적취(積聚)
|
|
오선환(五仙丸) /
제충(諸蟲)
|
|
오성탕(五聖湯) /
정저(疔疽)
|
|
오수유산(吳茱萸散) /
개선(疥癬)
|
|
오향연교탕(五香連翹湯) /
옹저(癰疽)
|
|
오황고(五黃膏) /
목적종통(目赤腫痛)
|
|
오황산(五黃散) /
장창(杖瘡)
|
|
옥촉산(玉燭散)[1] /
월경불통(月經不通)
, 징가(癥瘕)
|
|
옥촉산(玉燭散)[2] /
변옹(便癰)
|
|
외부신고(外敷神膏) /
창만(脹滿)
, 적취(積聚)
, 혈고(血鼓)
|
|
용담탕(龍膽湯)[2] /
소아기병(小兒鬾病)
|
|
우방금련탕(牛蒡芩連湯) /
대두온(大頭瘟)
|
|
우황사심탕(牛黃瀉心湯) /
전간(癲癎)
|
|
우황산자(牛黃散子) /
주달(酒疸)
, 곡달(穀疸)
|
|
우황탈명산(牛黃奪命散) /
소아천수(小兒喘嗽)
|
|
울금황련환(鬱金黃連丸) /
사석림(沙石淋)
, 백탁(白濁)
, 융폐(癃閉)
|
|
육마탕(六磨湯)[1] /
대변비결(大便秘結)
|
|
육일순기탕(六一順氣湯) /
상한이증(傷寒裏證)
|
|
이기환(利氣丸) /
식적복통(食積腹痛)
|
|
이성구고환(二聖救苦丸) /
대두온(大頭瘟)
|
|
이황산(二黃散) /
노육반정(努肉攀睛)
|
|
인삼복령산(人蔘茯苓散) /
신소(腎消)
|
|
인삼사폐탕(人蔘瀉肺湯)[1] /
폐실열(肺實熱)
|
|
인삼사폐탕(人蔘瀉肺湯)[2] /
열수(熱嗽)
|
|
인삼이격환(人蔘利膈丸) /
열격(噎膈)
, 천만(喘滿)
|
|
인중황환(人中黃丸) /
사시온역(四時瘟疫)
|
|
인진대황탕(茵蔯大黃湯) /
상한황달(傷寒黃疸)
|
|
인진치자탕(茵蔯梔子湯) /
곡달(穀疸)
|
|
인진탕(茵蔯湯) /
곡달(穀疸)
|
|
인진호탕(茵蔯蒿湯) /
상한발황(傷寒發黃)
|
|
인진환(茵蔯丸) /
온역(瘟疫)
, 황달(黃疸)
, 장학(瘴瘧)
|
|
입효산(立效散)[6] /
취유(吹乳)
|
|
자윤탕(滋潤湯) /
이변폐삽(二便閉澁)
, 풍중장(風中臟)
|
|
자하거환(紫河車丸) /
전시(傳尸)
, 노채(勞瘵)
|
|
작약탕(芍藥湯)[1] /
농혈리(膿血痢)
|
|
작약황련탕(芍藥黃連湯) /
장풍(腸風)
|
|
장달환(瘴疸丸) /
시행황병(時行黃病)
, 역려발황(疫癘發黃)
|
|
저당탕(抵當湯) /
상한섬어(傷寒譫語)
, 상한축혈증(傷寒蓄血證)
|
|
저당환(抵當丸) /
상한축혈증(傷寒蓄血證)
|
|
적석지산(赤石脂散)[2] /
탕화상(燙火傷)
|
|
전도산(顚倒散) /
대소변불통(大小便不通)
|
|
전설고(轉舌膏) /
중풍불어(中風不語)
|
|
전진환(全眞丸)[1] /
삼초옹체(三焦壅滯)
, 대소변불통(大小便不通)
|
|
전진환(全眞丸)[2] /
삼초옹체(三焦壅滯)
, 대소변불통(大小便不通)
|
|
전호기각탕(前胡枳殼湯) /
두창담천(痘瘡痰喘)
|
|
접골자금단(接骨紫金丹) /
골절(骨折)
|
|
정양산(正陽散)[1] /
상한음증(傷寒陰證)
|
|
제생인진탕(濟生茵蔯湯) /
역려발황(疫癘發黃)
|
|
조위승기탕(調胃承氣湯) /
상한이증(傷寒裏證)
|
|
조중탕(調中湯)[2] /
온역(瘟疫)
|
|
주거신우환(舟車神祐丸) /
수습중조(水濕中阻)
|
|
주거환(舟車丸) /
습열울체(濕熱鬱滯)
|
|
죽력달담환(竹瀝達痰丸) /
담괴(痰塊)
|
|
지황산(地黃散)[2] /
백막차정(白膜遮睛)
, 목적종통(目赤腫痛)
, 적예(赤翳)
|
|
지황산(地黃散)[3] /
두창입안(痘瘡入眼)
|
|
진간환(鎭肝丸) /
급경풍(急驚風)
|
|
진교당귀탕(秦艽當歸湯) /
치루(痔瘻)
, 항문양통(肛門痒痛)
|
|
진교창출탕(秦艽蒼朮湯) /
장치(腸痔)
|
|
진왕단(陣王丹) /
절상(折傷)
|
|
천금내소산(千金內消散) /
장옹(腸癰)
, 유옹(乳癰)
, 옹저(癰疽)
|
|
천금누로탕(千金漏蘆湯) /
발배(發背)
, 정창(釘瘡)
, 내저(內疽)
|
|
천금도인전(千金桃仁煎) /
월경불통(月經不通)
, 혈가(血瘕)
|
|
천금소독산(千金消毒散) /
정창(釘瘡)
|
|
첩비고(貼痞膏) /
비괴(痞塊)
|
|
청량구고산(淸凉救苦散) /
대두온(大頭瘟)
|
|
청심곤담환(淸心滾痰丸) /
전간(癲癎)
, 경광(驚狂)
|
|
청심탕(淸心湯) /
상초열(上焦熱)
|
|
청인이격산(淸咽利膈散) /
유아(乳蛾)
, 후폐(喉閉)
|
|
청화탕(淸火湯) /
삼초열(三焦熱)
|
|
청화활담환(淸火豁痰丸) /
울담(鬱痰)
|
|
초자삼릉환(醋煮三菱丸) /
혈고(血蠱)
|
|
초황고(硝黃膏) /
적괴(積塊)
|
|
추기환(推氣丸) /
대소변불통(大小便不通)
|
|
추충취적산(追蟲取積散) /
충적(蟲積)
|
|
추충환(追蟲丸) /
충적(蟲積)
|
|
축보환(丑寶丸) /
정충(怔忡)
, 전간(癲癎)
|
|
축어탕(逐瘀湯) /
치(痔)
|
|
치소변적삽방(治小便赤澁方) /
소변적삽(小便赤澁)
|
|
치시기황탕(梔豉枳黃湯) /
상한식복(傷寒食復)
, 발열(發熱)
|
|
치약고자(痔藥膏子) /
번화치(飜花痔)
|
|
치월폐일방(治月閉一方) /
월폐(月閉)
|
|
치자대황탕(梔子大黃湯) /
주달(酒疸)
|
|
칠물후박탕(七物厚朴湯) /
열창(熱脹)
|
|
칠선환(七宣丸) /
대변비결(大便秘結)
|
|
칠성환(七聖丸)[1] /
항문양통(肛門痒痛)
|
|
칠전영응단(七轉靈應丹) /
충적(蟲積)
|
|
침향교태환(沈香交泰丸) /
진창(䐜脹)
|
|
타농산(打膿散) /
옹저(癰疽)
|
|
탈명단(奪命丹)[4] /
포의불하(胞衣不下)
|
|
탈명산(奪命散)[4] /
낙상(落傷)
, 금창(金瘡)
, 도전상(刀剪傷)
|
|
태을고(太乙膏) /
오발옹저(五發癰疽)
, 탕화상(燙火傷)
|
|
통격환(通膈丸) /
습열(濕熱)
, 대소변불통(大小便不通)
|
|
통경탕(通經湯) /
월경불통(月經不通)
|
|
통경환(通經丸) /
혈가(血瘕)
, 실녀월경불통(室女月經不通)
|
|
통도산(通導散) /
대소변불통(大小便不通)
, 손상어혈(損傷瘀血)
|
|
통성산가감법(通聖散加減法) /
안병(眼病)
|
|
통신산(通神散)[1] /
임신대변불통(妊娠大便不通)
|
|
통천재조산(通天再造散) /
대풍창(大風瘡)
|
|
퇴운산(退雲散) /
예막(翳膜)
|
|
투격탕(透膈湯) /
탄산(呑酸)
|
|
투빙단(透氷丹) /
중풍열증(中風熱證)
, 탄탄(癱瘓)
, 중풍(中風)
|
|
팔정산(八正散) /
융폐(癃閉)
|
|
평기산(平氣散) /
습열천급(濕熱喘急)
|
|
하충산(下蟲散) /
복장충(腹藏蟲)
|
|
함화단(含化丹) /
이균(耳菌)
|
|
해금사산(海金砂散)[2] /
오림(五淋)
|
|
해독탕(解毒湯)[2] /
옹저(癰疽)
|
|
해독환(解毒丸)[1] /
경계(驚悸)
, 창양(瘡瘍)
|
|
해어독방(解魚毒方) /
생회중독(生鱠中毒)
|
|
향성파적환(響聲破笛丸) /
실음(失音)
|
|
현삼산(玄蔘散) /
현옹(懸癰)
|
|
혈극고(血極膏) /
월폐(月閉)
|
|
형황탕(荊黃湯)[1] /
풍열현훈(風熱眩暈)
|
|
형황탕(荊黃湯)[2] /
인후종통(咽喉腫痛)
|
|
호박고(琥珀膏)[1] /
적괴(積塊)
|
|
화독산(化毒散) /
양매창(楊梅瘡)
|
|
화류고(化瘤膏) /
영류(瘿瘤)
|
|
화비단(化痞丹) /
비괴(痞塊)
|
|
화어산(化瘀散) /
장창(杖瘡)
|
|
화혈윤장탕(和血潤腸湯) /
대변비결(大便秘結)
|
|
환골환(換骨丸) /
나풍(癩風)
|
|
활명금단(活命金丹) /
몽매(蒙昧)
, 중풍(中風)
|
|
황감산(黃甘散) /
옹저(癰疽)
|
|
황기산(黃芪散) /
누정(漏睛)
|
|
황련산(黃連散) /
황달(黃疸)
|
|
황련통성산(黃連通聖散) /
비연(鼻淵)
|
|
황백산(黃柏散)[2] /
탕화상(燙火傷)
|
|
황흑산(黃黑散) /
장옹(腸癰)
|
|
후박기실탕(厚朴枳實湯) /
구설(久泄)
|
|
흑노환(黑奴丸)[1] /
상한양독(傷寒陽毒)
|
|
흑노환(黑奴丸)[2] /
온역(瘟疫)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