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려자(蒺藜子) / 남가새

 익생양술에서 "남가새"로 처방에 사용됨
 동의보감에서 "질려자(蒺藜子) / 남가새"로 처방에 사용되었음.
분포 제주도, 남쪽 해안과 섬 지방 채취기간 8~9월(열매 성숙시)
1m 정도 취급요령 햇볕에 말려 쓴다.
생지 바닷가 모래땅 성미 따뜻하며, 쓰고 맵다.
분류 한해살이풀 독성여부 없다.
번식 1회사용량 4~6g
약효 씨ㆍ꽃 사용범위 치유되는 대로 중단한다.
마주나고 짝수 깃꼴겹잎으로서 짧은 잎자루와 더불어 길이는 1~6cm이다. 작은 잎은 4~8쌍이고 길이 1cm 정도의 긴 타원형인데 양쪽이 같지 않다. 끝은 둔하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뒷면에 흰색의 누운 털이 나 있다. 길이 3mm 정도인 턱잎은 서로 떨어져 있고 형상은 댓잎피침 모양의 삼각형이다.
7월에 잎겨드랑이에서 나온 짧은 꽃자루 끝에 1개씩 달려 노란색으로 핀다. 꽃잎은 5개이며 꽃받침보다 약간 길다. 5개인 꽃받침잎은 달걀을 닮은 긴 타원형으로서 끝이 뾰족하고 뒷면에 누운 털이 빽빽이 나는데, 꽃이 핀 뒤에 떨어진다. 수술은 10개이고 씨방은 1개이며 털이 많다.
열매
8~9월에 열려서 익으면 5개로 갈라지는데 갈라진 조각마다 2개의 뾰족한 돌기가 있고 겉껍질은 각질이다.
특징 및 사용
납가새ㆍ질리자(蒺리子)ㆍ질려(蒺藜)라고도 한다. 전체에 회백색의 털이 나 있는데 원줄기ㆍ잎줄기ㆍ꽃자루에는 꼬부라진 짧은 털과 퍼진 긴 털이 있다. 줄기는 밑동에서부터 가지를 많이 치며 갈라져서 기거나 비스듬히 눕는다. 관상용ㆍ사료용ㆍ식용ㆍ약용으로 이용된다. 어린순은 식용한다. 열매를 백질려(白蒺藜) 또는 질려자(蒺藜子)라 한다. 약으로 쓸 때는 탕으로 하거나 환제 또는 산제로 하여 사용한다.
익생양술 효능
주로 신진 대사와 각종 염증성 질환을 다스린다.
질려자(蒺藜子) / 남가새 열매
라틴명 Tribuli Fructus
약재의 효능 평간해울(平肝解鬱)  (간장(肝臟)의 기운을 조화롭게 유지하여 울체(鬱滯)된 것을 흩어주는 효능임)
행기(行氣)  (기를 잘 돌게 하는 방법을 말함.)
활혈산풍(活血散風)  (혈(血)의 운행을 활발히 하여 풍(風)을 없애는 효능임)
명목(明目)  (눈을 밝게 하는 효능임)
지양(止痒)  (양증(痒症)을 치료하는 효능임)
사폐(瀉肺)  (폐내(肺內)에 쌓인 열을 청사(淸瀉)하는 방법임.)
지번(止煩)  (번조(煩躁)를 그치게 효능임)
최생(催生)  (약으로 산모(産母)의 정기(正氣)를 도와 빨리 분만시키는 방법임.)
타태(墮胎)  (임신 3개월 이전, 태아가 형상을 갖추기 전에 유산되는 것.)
평간(平肝)  (간기(肝氣)가 몰리거나 치밀어 오르거나 간양(肝陽)이 왕성(旺盛)할 때 간기를 화평(和平)하게 해주는 방법임)
산풍(散風)  (풍사(風邪)를 흩뜨리는 효능임)
사기(瀉氣)  (기(氣)가 울체된 것을 치료하는 효능임)
파혈(破血)  (어혈을 비교적 독하고 강한 거어약(袪瘀藥)을 사용하여 없애는 방법임)
장기육(長肌肉)  (기육(肌肉)을 기르는 효능임)
경신(輕身)  (몸을 가볍게 하는 효능임)
작용부위 간(肝)
성미 고신(苦辛) , 미온(微溫) , 소독(小毒)
약전기재 원색화한약도감 , 중국약전 , 한국생약규격집
주의사항 혈기가 허한 사람은 복용하지 않는 것이 좋음.
약재사용처방 소풍해독산(疎風解毒散) /  편신생창(遍身生瘡)
질려자(蒺藜子)[1] /  요척통(腰脊痛)
질려자(蒺藜子)[2] /  백전풍(白癜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