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상자(蛇床子) / 사상자
익생양술에서
"사상자"로 처방에 사용됨
동의보감에서 "사상자(蛇床子) / 사상자"로 처방에 사용되었음.
분포 |
전국 각지 |
채취기간 |
8~9월(열매 성숙기) |
키 |
30~70cm |
취급요령 |
햇볕에 말려 가루를 내어 쓴다. |
생지 |
풀밭 |
성미 |
따뜻하며, 맵고 쓰다. |
분류 |
두해살이풀 |
독성여부 |
없다. |
번식 |
씨 |
1회사용량 |
열매 4~6g |
약효 |
열매(씨) |
사용범위 |
많이 먹어도 해롭지 않다. |
잎
어긋나며 3출 겹잎으로서 깃 모양으로 2회 갈라지는데 길이는 5~10cm이다. 작은 잎은 달걀 모양의 댓잎피침형으로서 녹색이며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에 거칠게 패어 들어간 톱니가 있다. 잎자루의 밑 부분이 잎집처럼 원줄기를 감싼다.
꽃
6~8월에 흰색으로 피는데 겹산형 꽃차례로 줄기 끝이나 가지 끝에 작은 오판화가 우산을 편 듯 무리 지어 달린다. 길이 1~3cm인 작은 꽃대는 5~9개이며 각각 6~20개의 꽃이 달린다. 길이 2~4mm인 작은 꽃자루에는 꽃대와 더불어 털이 있다. 꽃차례받침 조각은 4~8개이고 작은 꽃차례받침은 작은 꽃자루에 붙어 있다.
열매
8~9월에 길이 2.5~4mm인 달걀꼴의 수과가 4~10개씩 달려 익는데 짧은 가시 같은 털이 촘촘하게 나 있어 옷이나 짐승의 몸에 붙어 퍼진다. 열매 안에는 편평한 타원형의 씨앗 2개가 붙어 있다.
특징 및 사용
뱀도랏이라고도 한다. 사상자라는 이름은 뱀이 이 식물의 옆에서 서식한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특히 살무사가 이 풀 아래에 눕기를 좋아하고 그 씨앗을 먹는다 하여 ‘뱀의 침대[蛇床]’라는 뜻에서 유래한다. 포기 전체에 누운 털이 짧게 나 있다. 줄기는 곧게 서며 잎과 함께 짧고 단단한 털이 있다. 열매(씨)를 사상자라고 한다. 관상용ㆍ식용ㆍ약용으로 이용된다. 어린순은 나물로 먹는다. 약으로 쓸 때는 탕으로 하거나 환제로 하여 사용한다.
익생양술 효능
주로 부인과ㆍ이비인후과 질환과 피부소양증을 다스린다.
사상자(蛇床子) / 사상자
라틴명 |
Cnidii Fructus |
약재의 효능 |
거풍(祛風)
(안과 밖, 경락(經絡)및 장부(臟腑) 사이에 머물러 있는 풍사(風邪)를 제거하는 것임)
|
|
조습(燥濕)
(고조(苦燥)한 약물로 습사(濕邪)를 제거하는 방법으로 중초습증(中焦濕證)에 적용.)
|
|
온신(溫腎)
(온열(溫熱)한 약물을 사용하여 신기(腎氣)를 증강시키는 효능임)
|
|
조양(助陽)
(양기(陽氣)를 도와주는 효능임)
|
|
구충(驅蟲)
(기생충을 없애는 약물을 써서 인체 내부의 기생충병을 치료하는 효능임)
|
|
이관절(利關節)
(관절의 움직임을 편하게 하는 효능임)
|
|
열안색(悅顔色)
(안색(顔色)을 윤택하고 밝게 하는 효능임)
|
|
축소변(縮小便)
(소변이 너무 잦을때 하초의 기운을 공고히 하여 이를 다스리는 효능임)
|
|
해사독(解蛇毒)
(사독(蛇毒)이 풀리도록 하는 것임.)
|
|
소풍거습(疏風祛濕)
|
|
경신(輕身)
(몸을 가볍게 하는 효능임)
|
|
유자(有子)
|
|
복유황(伏硫黃)
(유황의 독을 억제하는 효능임)
|
작용부위 |
신(腎)
|
성미 |
소독(小毒)
, 신고(辛苦)
, 온(溫)
|
약전기재 |
원색화한약도감
, 중국약전
|
주의사항 |
양강정불고자(陽强精不固者)는 복용하지 말 것. |
약재사용처방 |
가미고삼환(加味苦蔘丸) /
대풍창(大風瘡)
|
|
고본건양단(固本健陽丹) /
신허불임(腎虛不姙)
|
|
구선영응산(九仙靈應散) /
음위(陰痿)
|
|
대구도제고(代灸塗臍膏)[1] /
제복냉통(臍腹冷痛)
|
|
대구도제고(代灸塗臍膏)[2] /
고냉(痼冷)
, 제복통(臍腹痛)
|
|
마풍고(磨風膏) /
음식창(陰蝕瘡)
|
|
문합산(蚊蛤散)[2] /
탈항(脫肛)
|
|
봉제애(封臍艾) /
제복냉통(臍腹冷痛)
|
|
부약(敷藥) /
대풍창(大風瘡)
|
|
비전일찰광(秘傳一擦光) /
악창(惡瘡)
, 개선(疥癬)
|
|
빈랑산(檳榔散) /
신장풍창(腎臟風瘡)
|
|
사상자(蛇床子)[1] /
음한(陰汗)
, 음랭(陰冷)
|
|
사상자(蛇床子)[2] /
개선(疥癬)
|
|
사향환(麝香丸) /
무자(無子)
, 백대(白帶)
, 부인음랭(婦人陰冷)
|
|
삼황산(三黃散)[2] /
개선(疥癬)
|
|
상단(上丹) /
음위(陰痿)
|
|
세독산(洗毒散) /
음식창(陰蝕瘡)
, 악창(惡瘡)
|
|
속사단(續嗣丹) /
무사(無嗣)
|
|
신이고(神異膏)[1] /
발배(發背)
, 옹저(癰疽)
, 창절(瘡癤)
|
|
신이고(神異膏)[2] /
개선(疥癬)
|
|
여성산(如聖散)[3] /
개선(疥癬)
|
|
연상산(連床散) /
나두창(癩頭瘡)
|
|
오수유산(吳茱萸散) /
개선(疥癬)
|
|
오자원(五子元) /
소변불금(小便不禁)
|
|
온신환(溫腎丸) /
무사(無嗣)
|
|
유황탕(硫黃湯) /
산후음탈(産後陰脫)
|
|
익수고진단(益壽固眞丹) /
허로(虛勞)
|
|
일상산(一上散) /
개선(疥癬)
|
|
전초산(剪草散) /
개선(疥癬)
|
|
진조산(津調散) /
하감창(下疳瘡)
|
|
창이산(蒼耳散)[3] /
아장선(鵝掌癬)
|
|
초분산(椒粉散) /
음낭습양(陰囊濕痒)
|
|
치대풍창부약(治大風瘡敷藥) /
대풍창(大風瘡)
|
|
치양매창세약방(治楊梅瘡洗藥方)[2] /
양매창(楊梅瘡)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