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려피(棕櫚皮) / 종려나무

 익생양술에서 "종려나무"로 처방에 사용됨
 동의보감에서 "종려피(棕櫚皮) / 종려나무"로 처방에 사용되었음.
분포 제주도, 남부 지방 채취기간 6~7월(개화기)
3~8m(큰 것은 10m) 취급요령 햇볕에 말려 쓴다.
생지 식재 성미 따뜻하며, 맵다.
분류 상록 교목 독성여부 없다
번식 꺾꽂이ㆍ분주 1회사용량 5~6g
약효 잎 ㆍ줄기껍질 사용범위 치유되는 대로 중단한다.
줄기 끝에서 모여나며 지름 50~90cm로 둥글고 광택이 있는 잎몸이 부챗살 모양으로 중심 가까이까지 갈라진다. 갈라진 조각은 맥을 중심으로 접힌다. 잎자루의 길이는 1m 정도이다.
5~6월에 황백색으로 피는데 잎 사이에서 나온 굵은 꽃줄기에서 수상 꽃차례로 달려 밑으로 처진다. 암수딴그루의 2가화이다. 꽃차례 밑 부분에는 대나무 껍질 모양의 커다란 꽃턱잎이 있다. 꽃덮이 조각과 수술은 각각 6개씩이고 암술은 1개이다.
열매
10월경에 암나무에 지름 1cm 정도의 둥근 핵과가 달려 검게 익는다.
특징 및 사용
종려라고도 하며 일본 규슈 지방이 원산지여서 일본산 종려라는 뜻으로 왜종려(倭棕櫚)라고도 부른다. 줄기는 곧게 서서 자라는데 오래 된 섬유 모양의 흑갈색 잎집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가지가 없다. 추운 지방에서는 월동이 불가능하다. 제주도를 비롯한 남부 지방에서는 가로수로 많이 심는다. 건축재ㆍ가로수ㆍ관상용ㆍ식용ㆍ약용으로 이용된다. 줄기의 목재는 단단하여 정원의 계단 발판을 만들고 건축용으로 쓴다. 또 장식용 재목과 고급 그릇의 재료로도 쓰인다. 잎자루의 밑이 삼각형으로 넓어지면서 줄기를 감싸고 가장자리에 섬유 같은 잎집이 발달하여 잎이 떨어진 다음에도 남아 있는데 이 부분의 섬유 조직을 종려모(棕櫚毛 : 종려털)라 하며 새끼ㆍ솔ㆍ비 등을 만드는 데 쓰인다. 꽃은 종어(棕魚ㆍ椶魚)라 하며 중국 요리에 쓴다. 약으로 쓸 때는 탕으로 하여 사용한다.
익생양술 효능
주로 호흡기와 이비인후과 질환을 다스리며, 운동계 질환에 효험이 있다.
종려피(棕櫚皮) / 종려나무 껍질
라틴명 Trachycarpi Petiolus
약재의 효능 수렴(收斂)  (넓게 펼쳐진 기운을 안으로 모으는 것을 말하는 것임)
지혈(止血)  (출혈(出血)을 그치게 하는 효능임)
생기(生肌)  (기육(肌肉)이 생기게 하는 효능임)
파징적(破癥積)  (오랜 체기(滯氣)가 뭉치고 쌓여서 생긴 덩어리를 풀어주는 효능임)
작용부위 간(肝) , 대장(大腸) , 폐(肺)
성미 고감(苦甘) , 삽(澁) , 평(平)
약전기재 중국약전 , 한국생약규격집
주의사항 종려나무 엽초의 섬유질(葉梢纖維質)
약재사용처방 십회산(十灰散)[1] /  토혈(吐血)구혈(嘔血)객혈(喀血)수혈(嗽血)
십회산(十灰散)[2] /  허로(虛勞)
십회환(十灰丸) /  실혈(失血)
여성산(如聖散)[1] /  붕루(崩漏)
오회산(五灰散) /  실혈(失血)혈붕(血崩)
종려피(棕櫚皮) /  대하(帶下)붕루(崩漏)
흑신산(黑神散)[3] /  산후발열(産後發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