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향(茴香) / 회향

 익생양술에서 "회향"로 처방에 사용됨
 동의보감에서 "회향(茴香) / 회향"로 처방에 사용되었음.
분포 전국 각지 채취기간 9∼10월
1∼2m 취급요령 햇볕에 말려 쓴다.
생지 밭에 재배 성미 따뜻하며, 맵다.
분류 한해살이 또는 두해살이풀 독성여부 없다.
번식 1회사용량 열매ㆍ뿌리, 잎 달린 줄기 5∼7g
약효 열매ㆍ뿌리ㆍ줄기잎 사용범위 해롭지는 않으나 치유되는 대로 중단한다.
뿌리잎과 밑에서 자란 잎은 잎자루가 길고 위로 올라가면서 잎자루가 짧아져 잎집으로 되어 줄기를 감싼다. 줄기잎은 3~4회 깃 모양으로 갈라지는데 갈라진 조각은 길이 4cm 정도의 실 모양으로 된다.
7∼8월에 황색의 작은 오판화가 줄기 끝과 가지 끝에서 겹산형 꽃차례를 이루며 달려 핀다. 작은 꽃자루는 10~20개 정도로 갈라진다. 꽃부리는 소형이고 5개인 꽃잎은 안쪽으로 말린다. 꽃에는 노란 꽃가루주머니가 달려 있다. 5개인 수술은 안으로 조금 말려 길게 자라 밖으로 나온다. 암술은 1개, 암술대는 2개인데 매우 작지만 자라면서 뒤로 굽는다. 씨방은 하위이다.
열매
8∼9월에 길이 8~10mm인 원기둥 모양의 분과를 맺는데 익으면 둘로 째지기 쉽게 되어 있다. 열매는 달콤한 맛과 함께 향기가 있다.
특징 및 사용
회향풀이라고도 한다. 줄기는 곧게 서서 자라는데 녹색이며 원기둥 모양이고 속이 비어 있다. 위쪽에서 가지가 많이 갈라지며 털이 없다. 온포기에 독특한 향기가 있다. 공업용ㆍ식용ㆍ약용으로 이용된다. 열매를 회향(茴香), 뿌리를 회향근(茴香根)이라 하며 약재로 사용한다. 열매는 향기가 강하여 향신료로 이용되는데 열매에서 짠 기름을 회향유(茴香油)라 하며 비린내와 누린내를 없애 주므로 육류ㆍ어류 요리에 많이 쓰인다. 또 포도주ㆍ빵ㆍ피클ㆍ소스ㆍ카레 등의 부향제로도 인기가 있다. 이 밖에 화장품의 부향제로도 사용된다. 약으로 쓸 때는 탕으로 하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사용하며, 술을 담가서도 쓴다.
회향(茴香) / 회향
라틴명 Foeniculi Fructus
약재의 효능 온신(溫腎)  (온열(溫熱)한 약물을 사용하여 신기(腎氣)를 증강시키는 효능임)
산한(散寒)  (한사(寒邪)를 없애는 효능임)
이기(理氣)  (행기해울(行氣解鬱), 강기조중(降氣調中), 보중익기(補中益氣)하여 기체(氣滯), 기허(氣虛), 기역(氣逆)등을 치료하는 것을 가리키는 용어임.)
조중(調中)  (중초(中焦)를 조화롭게 하는 효능임)
화위(和胃)  (위기(胃氣)를 조화시킬 때 쓰는 방법을 말함)
지통(止痛)  (통증(痛症)을 그치게 하는 효능임)
건비(健脾)  (비(脾)가 허(虛)한 것을 보(補)하여 운화기능(運化機能)이 약화된 것을 치료하는 방법)
개위(開胃)  (위(胃)를 열어주는 효능임)
통장(通腸)  (장의 기운을 원활하게 하는 효능임)
보명문(補命門)  (명문(命門)을 보하는 효능임)
난단전(暖丹田)  (단전(丹田)을 따뜻하게 하는 효능임)
선강탁음(善降濁陰)
개위치산(開胃治疝)
작용부위 간(肝) , 비(脾) , 신(腎) , 위(胃)
성미 신(辛) , 온(溫)
약전기재 대한약전 , 일본약국방
독성 Narcotic , hallucinogens 1). Pregnancy due to the emmenagogue effect 2,3,4,5), especially for concentrated forms such as the essential oil 6), and the phytoestrogen activity of its volatile oil components anethole, dianethole, photanethole 4). Essential oil for infants or small children 6) due to its potential toxicity 2). Prolonged use unless a physician is consulted due to the procarcinogenic estrgole content of the essential oil 7). Allergic hypersensitivity based on previous exposure resulting in skin or lung reactions in isolated cases 6).
1) Emboden, W.A., Jr., Narcotic Plants, Macmillan, New York, 168, 1972.
2) Brinker F. The Toxicology of Botanical Medicines, rev. 2nd ed., Eclectic Medical Pub., Sandy, Ore., 1996.
3) Wichtl M.(ed.). Herbal Drugs and Phytopharmaceuticals, CRC Press, Boca Raton, 1994.
4) Albert-Puleo M., J. Ethnopharmacol., 2, 337, 1980.
5) Farnsworth NR et al., J. Pharm.Sci., 64, 535, 1975.
6) Felter HW, Lloyd J'U. King's American Dispensatory, Eclectic Medical Pub., Sandy, Ore., 1993.
7) McGuffin M. Hobbs C, Upton R, Goldberg A(ed.). Botanical Safety Handbook, CRC Press, Boca Raton, 1997.
약재사용처방 가감내고환(加減內固丸) /  음랭(陰冷)음위(陰痿)
가미오령산(加味五苓散)[2] /  한산(寒疝)
감적병(疳積餠) /  오장감(五臟疳)
강활부자탕(羌活附子湯)[2] /  위랭(胃冷)
거령환(去鈴丸) /  퇴산(㿉疝)
견통원(蠲痛元) /  퇴산(㿉疝)
고련환(苦楝丸) /  적백대하(赤白帶下)
관중환(寬中丸) /  적취(積聚)
구명통심산(救命通心散) /  퇴산(㿉疝)
구미안신환(九味安腎丸)[1] /  목현(目眩)이롱(耳聾)신허요통(腎虛腰痛)
구미안신환(九味安腎丸)[2] /  신허이롱(腎虛耳聾)신허목현(腎虛目眩)요통(腰痛)
금령산(金鈴散) /  방광기(膀胱氣)퇴산(㿉疝)
금령자환(金鈴子丸) /  음란편추(陰卵偏墜)퇴산(㿉疝)
당귀사역탕(當歸四逆湯)[1] /  한산(寒疝)
당기아위원(撞氣阿魏元) /  기통(氣痛)
도계기보환(桃溪氣寶丸) /  대변비결(大便秘結)징가(癥瘕)적취(積聚)식적(食積)
도기기각환(導氣枳殼丸) /  심흉비통(心胸痞痛)기역(氣逆)
만병무우산(萬病無憂散) /  중서(中暑)
만응환(萬應丸)[2] /  적취(積聚)
모과탕(木瓜湯) /  곽란전근(霍亂轉筋)
목통산(木通散) /  기울협통(氣鬱脇痛)
목향금령환(木香金鈴丸) /  산(疝)외신종창통(外腎腫脹痛)
목향탕(木香湯) /  냉림(冷淋)
백배환(百杯丸) /  징벽(癥癖)상주(傷酒)
보신원(補腎元) /  원예(圓翳)
보신탕(補腎湯) /  신허요통(腎虛腰痛)
보천대조환(補天大造丸) /  허로(虛勞)방로상(房勞傷)
복원단(復元丹) /  수종(水腫)
복원통기산(復元通氣散) /  기통(氣痛)
비전수유내소원(秘傳茱萸內消元) /  수산(水疝)
사물조경탕(四物調經湯) /  월경불통(月經不通)혈가(血瘕)
사미회향산(四味茴香散) /  퇴산(㿉疝)
사초고진단(四炒固眞丹) /  소변백탁(小便白濁)
사초기각환(四炒枳殼丸) /  적취(積聚)창만(脹滿)
사초천련환(四炒川練丸) /  산(疝)
사향산(四香散) /  고창(蠱脹)
삼릉소적환(三稜消積丸) /  식적(食積)
삼미안신환(三味安腎丸) /  신허(腎虛)
삼산탕(三疝湯) /  방광기(膀胱氣)퇴산(㿉疝)
삼선단(三仙丹) /  양허(陽虛)이롱(耳聾)
삼수환(三茱丸) /  기산(氣疝)
삼인총백산(三因蔥白散) /  한산(寒疝)방광병(膀胱病)
삼출건비환(蔘朮健脾丸) /  구설(久泄)
소산환(消疝丸) /  퇴산(㿉疝)
소안신환(小安腎丸) /  신허요통(腎虛腰痛)이명(耳鳴)
속효산(速效散)[2] /  식적요통(食積腰痛)
수유내소원(茱萸內消元) /  음란편추(陰卵偏墜)
수유내소환(茱萸內消丸) /  한산(寒疝)퇴산(㿉疝)
순기목향산(順氣木香散) /  한창(寒脹)
신선기제단(神仙旣濟丹) /  오로(五勞)칠상(七傷)
신소산(神消散) /  산통(疝痛)
십미창백산(十味蒼柏散) /  산통(疝痛)
십보환(十補丸) /  음랭(陰冷)한산(寒疝)
영위반혼탕(榮衛返魂湯) /  발배(發背)옹저(癰疽)
오자원(五子元) /  소변불금(小便不禁)
오초천련환(五炒川練丸) /  산(疝)
올눌보천환(膃肭補天丸)[1] /  음위(陰痿)허손(虛損)
올눌보천환(膃肭補天丸)[2] /  허로(虛勞)
요자산(腰子散) /  수산(水疝)
우공산(禹功散) /  한산(寒疝)
유향산(乳香散)[3] /  장창(杖瘡)
윤신환(潤腎丸) /  비신구허(脾腎俱虛)
응통원(應痛元) /  견비통(肩臂痛)
일날금산(一捏金散) /  분돈산(奔豚疝)
일념금원(一捻金元) /  부인음정(婦人陰挺)
입안산(立安散) /  좌섬요통(挫閃腰痛)
입효산(立效散)[7] /  퇴산(㿉疝)
자음대보환(滋陰大補丸) /  음양구허(陰陽俱虛)
장본단(壯本丹) /  신허요통(腎虛腰痛)
적출원(赤朮元) /  부골저(附骨疽)
정비산(正脾散) /  산후부종(産後浮腫)
정향연실환(丁香練實丸) /  가취(瘕聚)칠산(七疝)
조경양혈원(調經養血元) /  무자(無子)
조중건비환(調中健脾丸) /  비설(脾泄)
주자당귀환(酒煮當歸丸) /  백대(白帶)
창출난명단(蒼朮難名丹) /  임력(淋瀝)소변혼탁(小便混濁)
천금양비원(千金養脾元) /  열격(噎膈)반위(反胃)
천금연수단(千金延壽丹) /  허로(虛勞)
천련산(川練散) /  목신(木腎)목신(木腎)분돈(奔豚)분돈(奔豚)
천태오약산(天臺烏藥散) /  퇴산(㿉疝)
청서화중산(淸暑和中散) /  중서(中暑)
초오산(草烏散) /  골절(骨折)
추석오정환(秋石五精丸) /  노손(勞損)신허(腎虛)
치소변백탁출수조방(治小便白濁出髓條方) /  정활(精滑)
침향온위환(沈香溫胃丸) /  비위허한(脾胃虛寒)곽란(霍亂)
탁리온중탕(托裏溫中湯) /  옹저설사(癰疽泄瀉)
탕산환(蕩疝丸) /  기산(氣疝)
파극환(巴戟丸)[1] /  탈정(脫精)
필징가원(蓽澄茄元) /  기창(氣脹)곡창(穀脹)
형봉전원(荊蓬煎元) /  적취(積聚)비괴(痞塊)
호로파원(胡蘆巴元) /  분돈산(奔豚疝)
화기탕(化氣湯) /  식분(息賁)
환소단(還少丹) /  음위(陰痿)
회향(茴香)[2] /  구취(口臭)
회향(茴香)[3] /  소장산(小腸疝)
회향안신탕(茴香安腎湯) /  음란편추(陰卵偏墜)
회향연실환(茴香楝實丸) /  칠산(七疝)가취(瘕聚)
희로환(晞露丸) /  징가(癥瘕)장담(腸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