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틴명 |
Trichosanthis Radix |
약재의 효능 |
강화(降火)
(화(火)를 내리는 효능임)
|
|
자음(滋陰)
(음기(陰氣)를 기르는 효능임)
|
|
윤조(潤燥)
(자윤(滋潤)하는 약물을 사용하여 조증(燥證)을 치료하는 방법.)
|
|
생진(生津)
(진액을 자양하는 약물을 사용하여 고열 등의 원인으로 인한 진액 손상을 치료하는 방법.)
|
|
지갈(止渴)
(갈증을 그치게하는 효능임)
|
|
산결(散結)
(맺힌 것을 푸는 효능임)
|
|
소어(消瘀)
(어혈(瘀血)을 삭여 없애는 방법을 말하는 것임)
|
|
활담(豁痰)
(담(痰)을 걷어 내는 효능임)
|
|
보허(補虛)
(허한 것을 보하는 효능임)
|
|
통소장(通小腸)
(소장의 기운을 소통시키는 효능임)
|
|
축뇨(縮尿)
(소변이 너무 잦을때 하초의 기운을 공고히 하여 이를 다스리는 효능임)
|
|
배농(排膿)
(고름을 뽑아 내는 치료방법을 말함. 배농(排膿)에는 수술로 째는 방법과 약을 붙이는 것 2가지가 있다.)
|
|
통경(通經)
(월경이 막혀 나오지 않는 것[閉經]을 치료하여 통창(通暢)시키는 방법임)
|
|
생기(生肌)
(기육(肌肉)이 생기게 하는 효능임)
|
|
장육(長肉)
(육(肉)을 기르는 효능임)
|
|
속절상(續絶傷)
(뼈나 근육이 끊어진 것을 이어주는 효능임)
|
|
소종(消腫)
(옹저(癰疽)나 상처가 부은 것을 가라앉히는 치료법임)
|
|
윤고학(潤枯涸)
(마른 곳을 적셔주는 효능임)
|
|
행진액(行津液)
(인체의 생리적인 수액대사인 진액(津液)을 소통시켜 주는 효능임)
|
작용부위 |
위(胃)
, 폐(肺)
|
성미 |
고(苦)
, 양(凉)
|
독성 |
This herb is a potent immunosuppressant and irritative agent. Overdosage can cause a rise in body temperature, extreme malaise, sore throat, and severe headache. Hypersensitivity to the herb produces symptoms of itching, rash, local swelling, and irritation, especially after parenteral injection. The herb is eliminated mainly by renal excretion and partially by hepatic metabolism. Overdosage may cause renal and hepatic damage.1). Not to be used during pregnancy 2). Mild; active, but toxicity appears very mild unless used for long time 3,4). 1) Huang, K.C., The pharmacology of Chinese herbs II, CRC press, 1999. 2) AHPA Safety & Labeling Guideliness SubCommittee;Michael McGuffin, Chair; Christopher Hobbs, L.Ac; and Roy Upton. 3) H.K. Do, Shin Rhong Bon Cho Kyung, 452. 4) H.T. Rhu, Hyang Yak Jip Sung Bang, 1431. |
약재사용처방 |
감초탕(甘草湯)[3] /
두창번갈(痘瘡煩渴)
, 두출불쾌(痘出不快)
|
|
건보환(健步丸) /
각슬위약(脚膝痿弱)
|
|
과루근(瓜蔞根)[2] /
소갈(消渴)
|
|
과루근(瓜蔞根)[3] /
팔달(八疸)
, 황달(黃疸)
|
|
동원탁리산(東垣托裏散) /
내저(內疽)
, 위완옹(胃脘癰)
|
|
발운퇴예환(撥雲退翳丸) /
예막(翳膜)
|
|
복원활혈탕(復元活血湯) /
낙상(落傷)
|
|
산종궤견탕(散腫潰堅湯) /
마도창(馬刀瘡)
, 나력(瘰癧)
|
|
생지황탕(生地黃湯)[2] /
태열(胎熱)
|
|
석자제니탕(石子薺苨湯) /
강중(强中)
|
|
성성산(惺惺散) /
상풍발열(傷風發熱)
, 번갈(煩渴)
, 담수(痰嗽)
|
|
소독탕(消毒湯) /
두후옹절(痘後癰癤)
|
|
신선퇴운환(神仙退雲丸) /
내장(內障)
, 외장(外障)
, 예막(翳膜)
|
|
연교음(連翹飮) /
악창(惡瘡)
|
|
연담환(連膽丸) /
오감(五疳)
|
|
옥액산(玉液散) /
화천(火喘)
|
|
용뇌음자(龍腦飮子) /
상초열(上焦熱)
, 인후종통(咽喉腫痛)
|
|
유황고(硫黃膏) /
면상잡병(面上雜病)
|
|
인삼산(人蔘散)[2] /
주상(酒傷)
|
|
지갈탕(止渴湯) /
곽란번갈(霍亂煩渴)
|
|
청단죽엽탕(淸膻竹葉湯) /
옹저번갈(癰疽煩渴)
|
|
청죽여탕(靑竹茹湯) /
상한노복발열(傷寒勞復發熱)
, 음양역(陰陽易)
|
|
황련저두환(黃連猪肚丸)[1] /
소갈(消渴)
, 중소(中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