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중(貫衆) / 관중
익생양술에서
"관중"로 처방에 사용됨
동의보감에서 "관중(貫衆) / 관중"로 처방에 사용되었음.
학명
Dryopteris crassirhizoma
분포 |
전국 각지 |
채취기간 |
가을~이듬해 봄 |
키 |
60~140cm |
취급요령 |
날것 또는 햇볕에 말려 쓴다. |
생지 |
산지의 숲 속 그늘지고 습한 곳 |
성미 |
차며, 쓰다. |
분류 |
여러해살이풀(양치식물) |
독성여부 |
없다. |
번식 |
포자 |
1회사용량 |
뿌리줄기 3~5g |
약효 |
뿌리줄기 |
사용범위 |
해롭지는 않으나 치유되는 대로 중단한다. |
잎
뿌리줄기에서 돌려나며 겹잎이다. 잎은 길이 1m 안팎, 나비 25cm에 달하는 대형이다. 잎자루는 길이 10~30cm로서 잎몸보다 훨씬 짧으며 갈색의 수많은 비늘조각으로 덮여 있다. 비늘조각은 10~25mm쯤이고 광택이 있는 황갈색 또는 흑갈색인데 밑 부분의 것은 크며 가장자리에 돌기가 있으나 위로 올라갈수록 점차 좁아지면서 작아진다. 잎몸은 거꾸로 된 댓잎피침형으로서 짙은 초록색이며 뒷면은 다소 흰색을 띠는 초록색인데 2회 깃꼴로 갈라진다. 갈라진 깃조각은 대가 없으며 길이 10~15cm, 나비 1.5~2.5cm의 좁은 댓잎피침형으로서 거의 깃꼴로 전부 갈라지고 밑쪽으로 갈수록 작아진다. 또한 양면에 연한 갈색 털이 나며 곱슬털 같은 비늘조각이 있다. 다시 갈라진 작은 잎은 선 모양의 긴 타원형으로서 끝이 뭉뚝하거나 둥글고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다. 잎맥은 표면에서 들어가고 측맥은 2개로 갈라진다.
포자
5~6월에 포자가 형성되어 9월에 익는다. 포자주머니들은 위쪽 깃조각의 중앙맥 가까이에 2줄로 붙는다. 포자주머니들을 싸는 포막은 지름 1~1.5mm 가량의 둥근 심장형이며 검은 갈색을 띠는데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다 익으면 불규칙하게 갈라진다.
익생양술 효능
주로 순환계ㆍ피부과 질환을 다스리며, 구충제(驅虫劑)로도 쓰인다.
관중(貫衆) / 관중
라틴명 |
Dryopteridis Crassirhizomae Rhizoma |
약재의 효능 |
청열해독(淸熱解毒)
(열독(熱毒) 병증을 열을 내리고 독을 없애는 방법으로 치료하는 것을 이르는 말임.)
|
|
거풍습(祛風濕)
(풍습(風濕)을 제거하는 효능임)
|
|
활혈(活血)
(혈(血)의 운행을 활발히 하는 효능임)
|
|
견골(堅骨)
(뼈를 견고하게 하는 효능임)
|
|
행혈(行血)
(치법의 하나. 혈액순환을 촉진하는 방법으로서, 주로 어혈증(瘀血證)에 적용함.)
|
|
지혈(止血)
(출혈(出血)을 그치게 하는 효능임)
|
|
보절상(補折傷)
(부러진 상처를 치료하는 효능임)
|
|
식육(蝕肉)
(썩은 살을 긁어내는 효능임)
|
|
살충(殺蟲)
(기생충을 없애는 효능임)
|
|
견신(堅腎)
(신(腎)을 견고하게 하는 효능임)
|
|
보익(補益)
(인체의 기혈음양(氣血陰陽)이 부족한 것을 보양하여 각종 허증(虛症)을 치료하는 효능임)
|
작용부위 |
간(肝)
, 위(胃)
|
성미 |
고(苦)
, 소독(小毒)
, 양(凉)
|
약전기재 |
대한약전
, 중국약전
|
독성 |
This herb and its active principle are toxic and irritative. They produce an irritant effect on the gastrointestinal tract when taken orally. Nausea, vomiting, abdominal pain, and bloody stool are common adverse effects. In pregnant women, they may cause abortion. It is highly lipid soluble and rapidly absorbed from the intestine when some dietary fat is present. After absorption, it causes central depression. In mild cases, headache and dizziness are common. In severe cases, tremor, convulsions, paralysis, and constriction of retinal vessels may be observed. This herb is contraindicated in children and pregnant women. Oily foods should not be eaten when taking it.1).Low / toxic class of herbaceous folk medicine.(toxic; active but toxic, cautious/very toxic, at small dose, usually used for emergency case) 2,3). 1) Huang, K.C., The pharmacology of Chinese herbs II, CRC press, 1999. 2) H.K. Do, Shin Rhong Bon Cho Kyung, 452. 3) H.T. Rhu, Hyang Yak Jip Sung Bang, 1431. |
약재사용처방 |
관중(貫衆) /
삼시충(三尸蟲)
, 촌백충병(寸白蟲病)
|
|
관중환(貫衆丸) /
구충병(九蟲病)
, 삼시충(三尸蟲)
|
|
오두탕(五豆湯) /
주갈(酒渴)
|
|
옥설무우산(玉屑無憂散) /
전후풍(纏喉風)
, 골경(骨鯁)
|
|
웅사환(雄砂丸) /
제충(諸蟲)
|
|
위피환(蝟皮丸) /
치루(痔瘻)
|
|
하충환(下蟲丸) /
회감(蛔疳)
|
|
해독환(解毒丸)[2] /
백물독(百物毒)
|
|
활명금단(活命金丹) /
중풍(中風)
, 몽매(蒙昧)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