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계통 | 허로(虛勞) / 잡병편(雜病篇) |
원인과 증상 | 비기허(脾氣虛). |
질병처방 | 곽향안위산(藿香安胃散) |
곽향평위산(藿香平胃散) | |
귤피(橘皮)[2] | |
대산우원(大山芋元) | |
복령조화고(茯苓造化糕)[1] | |
비전삼선고(秘傳三仙糕)[1] | |
사당원(砂糖元) | |
삼령백출산(蔘苓白朮散) | |
삼출탕(蔘朮湯) | |
생위단(生胃丹) | |
서련환(瑞蓮丸)[1] | |
양위진식탕(養胃進食湯) | |
이공산(異功散)[1] | |
전씨이공산(錢氏異功散) | |
태화환(太和丸) | |
황자계(黃雌鷄)[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