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틴명 |
Aurantii Pericarpium |
약재의 효능 |
이기(理氣)
(행기해울(行氣解鬱), 강기조중(降氣調中), 보중익기(補中益氣)하여 기체(氣滯), 기허(氣虛), 기역(氣逆)등을 치료하는 것을 가리키는 용어임.)
|
|
조중(調中)
(중초(中焦)를 조화롭게 하는 효능임)
|
|
개위(開胃)
(위(胃)를 열어주는 효능임)
|
|
쾌격(快膈)
(흉격의 기운을 시원하게 소통시키는 효능임)
|
|
정구(定嘔)
(구토(嘔吐)를 그치게 하는 효능임)
|
|
지해(止咳)
(기침을 그치게 하는 효능임)
|
|
조습(燥濕)
(고조(苦燥)한 약물로 습사(濕邪)를 제거하는 방법으로 중초습증(中焦濕證)에 적용.)
|
|
소담(消痰)
(막혀 있는 탁한 담(痰)을 쳐 내리는 거담(祛痰) 방법임.)
|
|
도체(導滯)
(체한 것을 내려가게 하는 방법을 가리키는 용어임.)
|
|
지사(止瀉)
(설사(泄瀉)를 치료하는 효능임)
|
|
산결(散結)
(맺힌 것을 푸는 효능임)
|
|
지애(止呃)
(딸꾹질을 그치게 하는 효능임)
|
|
통림(通淋)
(하초(下焦)의 습열(濕熱)을 없애고 결석(結石)을 제거하며, 소변 볼 때 깔깔하면서 아프거나 방울방울 떨어지면서 시원하게 나가지 않는 병증을 제거하는 방법임)
|
|
이수곡(利水穀)
(비위(脾胃)의 기능을 좋게 하는 효능임)
|
|
이기조습(理氣燥濕)
(기(氣)를 통하게 하고 습한 것을 마르게 하는 효능임)
|
|
거취(去臭)
|
|
하기(下氣)
(인체 하부의 기(氣)를 말함.)
|
|
통신(通神)
(신기(神氣)를 소통시키는 효능임)
|
작용부위 |
비(脾)
, 폐(肺)
|
성미 |
고신(苦辛)
, 온(溫)
|
약전기재 |
원색화한약도감
|
주의사항 |
많이 먹거나 오랫동안 복용해서는 안됨. |
독성 |
Mild; active, but toxicity appears very mild unless used for long time 1,2). 1) H.K. Do, Shin Rhong Bon Cho Kyung, 452. 2) H.T. Rhu, Hyang Yak Jip Sung Bang, 1431. |
약재사용처방 |
가미귤피죽여탕(加味橘皮竹茹湯) /
위열구토(胃熱嘔吐)
|
|
가미이진탕(加味二陳湯)[4] /
매핵기(梅核氣)
|
|
가미이진탕(加味二陳湯)[5] /
위한구역(胃寒嘔逆)
|
|
가자피산(訶子皮散) /
적백리(赤白痢)
, 허리(虛痢)
, 탈항(脫肛)
|
|
갈근귤피탕(葛根橘皮湯) /
반진(斑疹)
|
|
갈화해정탕(葛花解컲湯) /
주상(酒傷)
|
|
관중진식환(寬中進食丸) /
내상비위증(內傷脾胃證)
, 불사식(不思食)
|
|
균기환(均氣丸) /
애기(噯氣)
|
|
귤감산(橘甘散) /
담수(痰嗽)
|
|
귤반기출환(橘半枳朮丸) /
식상(食傷)
|
|
귤피(橘皮)[1] /
졸음(卒瘖)
|
|
귤피(橘皮)[2] /
비위허약(脾胃虛弱)
|
|
귤피(橘皮)[3] /
기역(氣逆)
|
|
귤피(橘皮)[5] /
반위(反胃)
, 구토(嘔吐)
|
|
귤피(橘皮)[7] /
기역(氣逆)
, 흘역(吃逆)
, 해수(咳嗽)
|
|
귤피건강탕(橘皮乾薑湯) /
위랭(胃冷)
|
|
귤피기출환(橘皮枳朮丸) /
수곡불화(水穀不化)
, 심하비만(心下痞滿)
|
|
귤피일물탕(橘皮一物湯) /
기체(氣滯)
|
|
귤피전원(橘皮煎元) /
비신구허(脾腎俱虛)
, 구리(久痢)
|
|
귤피죽여탕(橘皮竹茹湯) /
위허(胃虛)
, 격열(膈熱)
, 해역(咳逆)
|
|
귤피탕(橘皮湯) /
허번(虛煩)
|
|
귤행환(橘杏丸) /
노인대변비결(老人大便秘結)
|
|
기귤울법(枳橘蔚法) /
부인음종(婦人陰腫)
|
|
기귤탕(枳橘湯) /
기체흉비(氣滯胸痞)
|
|
기리환(氣痢丸) /
기리(氣痢)
|
|
복원단(復元丹) /
수종(水腫)
|
|
사미곽향탕(四味藿香湯) /
구토(嘔吐)
|
|
삼귤산(蔘橘散) /
오조(惡阻)
|
|
삼출산(蔘朮散) /
심위통(心胃痛)
|
|
삼합탕(三合湯)[1] /
배통철심(背痛徹心)
|
|
생강귤피탕(生薑橘皮湯) /
건구(乾嘔)
, 오심(惡心)
|
|
석련산(石蓮散) /
금구리(噤口痢)
|
|
오부통기탕(烏附通氣湯) /
산통(疝痛)
|
|
이진탕(二陳湯)[1] /
담음(痰飮)
|
|
이진탕(二陳湯)[2] /
오조(惡阻)
|
|
익기환(益氣丸) /
소기(少氣)
|
|
전씨이공산(錢氏異功散) /
비위허약(脾胃虛弱)
, 음식불소(飮食不消)
|
|
정폐탕(定肺湯) /
기천(氣喘)
|
|
정향시체산(丁香枾蒂散) /
위랭(胃冷)
|
|
죽여탕(竹茹湯) /
오조(惡阻)
|
|
증손낙령탕(增損樂令湯) /
양허(陽虛)
|
|
천마반하탕(天麻半夏湯) /
담훈(痰暈)
|
|
해어독해독일방(解魚毒蟹毒一方)[1] /
어독(魚毒)
, 해독(蟹毒)
|
|
해표이진탕(解表二陳湯) /
효천(哮喘)
|
|
향귤병(香橘餠) /
초생토유(初生吐乳)
|
|
향귤탕(香橘湯) /
칠기울결(七氣鬱結)
|
|
화기조경탕(化氣調經湯) /
나력(瘰癧)
|